고양시, 광역버스 입석 금지에 ‘중간배차·2층버스’ 등 선제 대응
임종환 기자
lim4600@naver.com | 2025-05-28 08:36:48
[로컬세계 = 임종환 기자]경기 고양시는 광역버스 입석 금지 조치 시행 이후 극심해진 출근길 혼잡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전세버스 추가 투입, 중간배차 운영, 2층 전기버스 도입 등 선제적 대책을 마련했다고 28일 밝혔다.
입석 금지 조치는 시민 안전을 위한 불가피한 제도였지만, 실제 시행에 있어 수도권 외곽 도시인 고양시에는 큰 부담으로 작용했다. 특히 서울로 출근하는 주요 노선인 1000번 직행좌석버스는 상류 구간인 일산에서 이미 만석이 돼, 덕양구 행신동 등 하류 정류장 승객들이 승차하지 못하는 상황이 반복됐다.
정류소 대기 줄이 길어지며 시민 간 충돌이나 민원 발생도 잦아졌다.
시는 제도 시행 전후의 승차 불가 인원 데이터를 토대로 국토교통부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와 협의해 ▲전세버스 2대 추가 ▲중간배차 6회 유지 ▲2층 전기버스 5대 도입 등의 방안을 추진했다.
이 가운데 ‘광역버스 준공영제 중간배차 운영’은 전국에서 유일하게 시행 중인 제도로, 기존 준공영제 체계에서 운영이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시는 대광위와의 지속 협의를 통해 이를 유지하게 됐다.
운수 종사자 부족으로 민영제 노선 감차가 불가피한 가운데서도, 시는 운수업체를 독려해 운행 대수 정상화에 힘썼다.
이에 따라 고양경찰서, 행신초교 등 하류부 정류장에서의 배차가 가능해지면서 무정차 통과로 인한 승차 불가 문제도 완화됐다.
시는 주거지역 중심 도시 특성상 출퇴근 시간 외에는 승객 수요가 급감하는 점을 감안해 무작정 증차보다는 탄력적 운행 방식을 선택했다고 설명했다. 수요에 맞지 않는 상시 증차는 예산 낭비와 운송 손실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향동지역 혼잡도 해소를 위해 730번 일반시내버스의 중간배차를 도입해 출퇴근 시간에 한정해 향동~DMC역 구간을 운행 중이다.
고양시 관계자는 “시민 교통권 보호를 최우선에 두고 앞으로도 관계기관과 협력해 실효성 있는 대책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로컬세계 / 임종환 기자 lim4600@naver.com
[ⓒ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