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규제에 막힌 경기동부권, 강경선 타고 개발 꿈틀

주덕신

jdsdpn@naver.com | 2017-12-10 08:12:22

광주 송정지구 28만㎡ 규모, 주거용지 10만㎡, 1,302가구 수용
곤지암역세권 17만6천㎡ 규모, 1,006가구 수용, 상업‧환승시설 계획
여주 능서역세권 8만㎡ 주택단지와 4만㎡ 유통시설 계획

▲경기도 광주 송정지구 조감도.(경기도 제공) 
▲현황도.
[로컬세계 주덕신 기자]각종 중첩규제로 개발에 어려움을 겪던 경기 동부지역의 개발사업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경기도는 광주 송정지구‧곤지암역세권 및 여주 능서역세권 도시개발사업 계획이 지난 8일 열린 도시계획·건축공동위원회를 통과했다고 10일 밝혔다.

 
광주 송정지구 도시개발사업은 송정동 318-4번지 일원 28만여㎡ 부지에 기존시가지와 광주시청 등 주변 행정타운을 연결하는 개발사업이다. 2019년 완공을 목표로 675억 원을 투입해 1302세대 규모의 주거단지와 상업 및 업무시설 등을 조성한다.


광주 곤지암역세권과 여주 능서역세권은 성남~여주를 연결하는 복선전철 경강선의 곤지암역과 세종대왕릉 역사 주변을 개발하는 사업이다.

▲곤지암역세권 조감도. 
▲현황도.
광주시는 373억원을 들여 곤지암역 주변 17만6000여㎡ 부지에 1006세대 규모의 주거단지를 조성하고 역사 주변에 상업기능을 갖춘 복합주거단지를 조성할 예정이다.

여주시는 360억원을 들여 세종대왕릉역 주변 23만6000여㎡ 부지에 924세대 규모의 주거단지를 조성하고, 4만㎡ 규모의 유통단지를 조성할 계획이다.


곤지암‧능서역세권 개발은 2019년 하반기까지 완공될 예정으로 이 두 곳의 개발이 완료되면 무분별한 난개발 방지와 함께 해당지역 경제활성화와 생활편의시설 부족 문제가 해소될 것으로 기대된다.

▲능서역세권 조감도. 
▲현황도.
경기도는 이번 실시계획(안)이 도 공동위원회를 통과함에 따라 조속한 시일 내 실시계획 승인을 할 예정이다.

 
경기도는 이들 3개 지구 개발사업이 팔당특별대책지역, 자연보전권역 등의 각종 중첩규제로 개발이 지연된 경기도 동부지역 발전에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신용천 도 도시정책과장은 “경기 동부지역은 최근 서울 등 대도시권으로부터 인구 유입 가능성이 커지고 있지만 각종 규제로 도시용지와 기반시설이 부족한 실정”이라며 “철도 역세권을 활용해 동부지역이 보다 발전할 수 있도록 행·재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말했다.


[ⓒ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