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겨울철 자연재난 ‘과잉 대응’ 돌입… 대설·한파 총력 대비

고기훈 기자

jamesmedia@daum.net | 2025-11-13 08:30:59

15일부터 4개월간 대책기간 운영… 제설·대피·취약계층 보호 등 종합대응체계 가동 지난해 김동연 도지사가 상황실을 찾아 점검하고 있다. 경기도 제공

[로컬세계 = 고기훈 기자] 경기도가 오는 15일부터 내년 3월 15일까지 4개월간을 ‘겨울철 자연재난 대책기간’으로 정하고, 대설과 한파에 대한 본격 대응에 들어간다. 지난해 대설 피해를 교훈 삼아 ‘과잉 대응’을 원칙으로 선제적 대비와 단계별 대응체계를 가동할 방침이다.

경기도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5~2026년 겨울철 자연재난 대설·한파 종합대책’을 수립해 시행에 들어간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대책은 ▲현장 중심 대응력 강화 ▲기후위기 대비 제설역량 확충 ▲도민 안전 확보를 위한 통제·대피 체계화 ▲복구지원 체계 강화 ▲취약계층 보호 및 한파저감시설 확충 등을 골자로 한다.

도는 기상특보 이전에도 ‘비상대비 근무’를 가동해 신속 대응태세를 유지한다. 시군별 비상 1단계 발령 시에는 3400여 명의 시군 본청 공무원이 읍·면·동 현장에 직접 투입돼 제설 및 안전통제 활동을 지원한다.

또한 ‘경기도 360° 스마트 영상센터’를 통해 시군의 18만여 대 CCTV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적설 상황과 제설 현황을 즉시 파악해 사각지대를 최소화할 계획이다. 재해우려지역 1,500여 곳도 유형별로 구분해 집중 관리한다.

염수분사차량(제설)

이례적 대설에 대비한 제설자원도 대폭 확충됐다. 도는 올해 도로 열선시스템 및 보도육교 대설 예방시설 설치비 등 총 177억원을 지원했으며, 제설제는 전년보다 43% 늘어난 21만4000톤, 제설장비는 39% 증가한 8800여 대를 확보했다.

특히 강설 집중 시 즉각 지원할 수 있도록 제설제 1만 톤을 도 단위로 비축해 2시간 내 긴급 지원이 가능하도록 했다.

인명피해 예방을 위해 적설량별로 ▲대피 준비 ▲대피 권고 ▲대피 명령 단계를 세분화해 운영하며, 전통시장·축사 등 취약구조물 18종에 대해 합동 점검도 진행 중이다.

피해 발생 시에는 올해 신설된 ‘특별지원구역 제도’를 적용해 복구비를 추가 지원하고, ‘일상회복지원금’을 통해 도민의 실질적 피해복구 체감도를 높일 예정이다.

도는 한파 대비도 강화한다. 한파쉼터는 지난해보다 28곳 늘어난 7962곳으로 확대하고, 방풍시설과 온열의자 등 한파저감시설도 8476개로 늘렸다. 노숙인 순찰반은 야간 순찰을 강화하며, 취약노인 6만7000 명을 대상으로 전담인력 4600명이 안전 확인을 실시한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겨울철 대설과 한파에도 ‘과잉 대응’을 원칙으로 도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겠다”며 “현장 상황을 세심히 살피고, 재난으로 인한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철저히 관리하라”고 당부했다.

로컬세계 / 고기훈 기자 jamesmedia@daum.net

[ⓒ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