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상정 “경북 개 농장 23.4% 무신고 운영…관리실태 매우 부실”

이서은

| 2015-09-10 08:51:09

“하루 분뇨발생량 216.8톤 중 11.8% 처리실태 파악 안 돼”
“개·인간 공통전염병 관리, 위생관리 체계, 안전관리 문제 등 종합관리 시스템 구축 필요”

▲ 사진출ㅊ심상정 의원실

[로컬세계 이서은 기자] 경상북도를 비롯해 전국 ‘개 농장’의 관리실태가 매우 부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정의당 심상정 의원이 지난 9일 환경부로부터 제출받은 ‘전국 개 농장수와 경상북도(22개 시군별) 개사육 시설 통계’ 자료에 따르면 경상북도의 개 농장은 719곳이며, 이 중 가축분뇨처리시설 설치 신고를 하지 않은 곳은 168곳으로 23.4% 달했다.


또한 경북 개 농장의 하루 분뇨발생량은 216.8톤으로 파악됐으며, 이 중 191.4톤은 정화 또는 퇴비화로 처리되나 25.4톤은 어떻게 처리되는지 확인되지 않아 가축분뇨처리시설 인허가문제 및 처리시설부족 등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드러났다.


아울러 경북 개 농장 가운데 가장 많은 개를 사육하는 농장의 경우 한 농장에서 1500마리를 사육하는 것으로 조사돼, ‘개 농장의 공장화’ 문제로 지적됐다.


이에 대해 심 의원은 “전 세계적으로 개를 식용 목적으로 대형견 500여 마리 이상, 심지어 1500 마리까지 대규모 공장식으로 사육하는 사례는 알려진바 없다”며, “개 농장에 대한 전국적인 실태조사가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이어 “개와 인간의 공통전염병 관리, 위생관리 체계 등 종합관리 시스템 구축을 위해 중앙정부가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심 의원은 “동물보호단체 카라의 조사결과에 의하면 사육자들은 도사견등 외국산 투견과 우리나라 백구, 버려진 리트리버와 같은 대형견 등을 교배해 덩치를 키운 개들을 주로 식용 목적으로 사육하고 있다”며, “도사견과 같은 투견과 그 혼종은 키울 수 없도록 금지하거나 키우더라도 별도로 등록 관리하도록 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