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평군, ‛화동 고분군’ 발굴 성과 자문회의 및 현장 공개회 개최
이남규 기자
diskarb@hanmail.net | 2024-12-14 13:58:38
금동제관못, 청동족집게, 은제꾸미개, 흑옥 등 유물 출토
▲ 백제(사비)시대의 굴식돌방무덤으로 확잊된 1호분 .(사진. 함평군) |
[로컬세계 = 이남규 기자] 지난 13일 전남 함평군에서 전라남도 문화유산자료로 지정된 ‘함평 진양리 화동고분군’ 발굴성과에 대한 전문가 자문회의 및 현장공개회가 개최됐다.
함평군은 ‘함평 진양리 화동고분군’의 보존 정비계획을 수립하고, 역사문화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해 지난 10월부터 학술 발굴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이번 조사결과 1호분은 직경 16m인 원형분으로 무덤방(玄室)과 출입시설(羨道)을 갖춘 전형적인 백제(사비)시대의 굴식돌방무덤으로 확인됐다.
무덤방은 하나의 봉분 속에 두 개의 돌방이 동시에 만들어진 쌍실분으로 대형판석을 다듬어 만들어 졌는데 당시의 정교한 석재 가공 기술의 일면을 살펴볼 수 있다.
1호 돌방은 도굴되어 바닥석까지 전부 파헤쳐진 상태로 훼손되었으나, 출입구의 퇴적토에서 인근의 신덕고분에서 출토된 금동관과 유사한 육각형에 꽃무늬가 새겨진 금동판이 출토됐다.
2호 돌방에서는 길이 99cm의 큰 칼과 은실로 용무늬를 그려 넣은 칼집 장식이 출토됐다.
그밖에 금동제관못과 청동족집게, 은제꾸미개, 흑옥 등 함평지역의 고대 문화를 밝힐 수 있는 귀중한 유물들이 출토되어 눈길을 끌고 있다.
이상익 함평군수는 “진양리 화동고분군을 비롯해 최근 발굴 조사된 자료를 바탕으로 향후 이 지역 역사문화권 정비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