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유성구-의회, 정부에 원자력 안전대책 강력 촉구
조윤찬
ycc925@localsegye.co.kr | 2016-10-17 14:47:54
▲허태정 유성구청장이 17일 대전시청 브리핑룸에서 원자력 안전 대책을 강력히 촉구하며 기자회견을 갖고 있다. |
[로컬세계 조윤찬 기자]대전 유성구와 구의회가 한목소리를 냈다. 국정감사에서 유성구 소재 한국원자력연구원에 사용후핵연료(고준위 방사성 폐기물)와 손상핵연료가 다수 보관돼 있는 것으로 밝혀지자 정부에 원자력 안전대책을 강력 촉구한 것.
허태정 구청장은 17일 대전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그동안 우리 유성구민은 수차례에 걸친 크고 작은 원자력 사고와 관련해 정부측의 보호조치와 주민 불안 해소를 위한 소통 노력을 기대해왔으나 고위험군에 속하는 사용후핵연료인 폐연료봉(1390개)과 손상핵연료(309개)가 1699개(약 3.3톤)나 보관돼 있는데 30년간 단 한 번도 이 사실을 주민들에게 알리지 않고 쉬쉬한 것은 주민 안전과 신뢰를 져버리는 명백한 기만행위”라고 일침했다.
특히 “손상핵연료(309개)의 경우 한국수력원자력 내부규정인 ‘발전소운영절차서’상의 규정을 어기면서까지 1988년부터 2010년까지 7차례에 걸쳐 원자력발전소(고리, 영광, 울진)에서 대전원자력연구원으로 옮겼다”며 “원자력 안전관리에 대한 정부의 안일한 대처가 극명히 들어났다”고 지적했다.
이어 “지난달 경주 지진으로 원자력 사고에 대한 국민적 불안이 가중되고 원자력 특성상 사고발생 시 대형사고로 이어진다는 면에서 평소 주민과 정보를 공유하고, 소통하는 노력들이 절실했는데 정부가 이를 철저히 외면했다”고 꼬집었다.
또 “그동안 주민들에게 공개하지 않은 또 다른 위험물이 있진 않은지 명확히 밝히고 그 어떤 주민동의나 협의 없이 현재 원자력연구원 내에 보관 중인 사용후핵연료와 손상핵연료에 대한 반출과 시설물 내진보강 계획이 담긴 종합대책을 주민들에게 즉각 제시할 것을 요구한다”며 정부를 압박했다.
이와 함께 “정부측의 계획대로 원자력연구원의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을 연간 800드럼씩 반출할 경우 약 40년이 소요된다”며 “이에 대한 명확한 기간 제시와 주민과 지자체가 함께 폐기물 이송 정보를 상시로 공유할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하라”고 요구했다.
그러면서 “그동안 정부는 원자력연구원 등에 보관된 중저준위방사선폐기물(약 3만 드럼)의 안전성 여부만 강조해 왔지 정작 심각한 위험요소인 사용후핵연료와 손상핵연료의 보관여부에 대해서는 주민은 물론, 지자체에도 전혀 알린 바가 없다”며 “이는 주민의 안전과 알권리를 무시한 불통행정의 전형”이라고 비판했다.
▲대전유성구의회 민태권 의장을 비롯한 의원들이 성명을 발표하고 있다. |
이어 구의원들도 전국에서 두 번째로 많은 방사능 폐기물 보유지역인 유성구 주민들의 원자력 안전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구의회는 “정부가 30년간 숨겨온 원자력연구원에 보관중인 손상된 핵연료가 포함된 사용 후 핵연료의 존재와 이를 이용한 파이로 프로세싱 연구계획 발표는 유성의 안전과 대전의 정체성마저 위태롭게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원자력연구원에 보관중인 1699봉의 사용후핵연료가 만의 하나 화재와 지진 등으로 인해 불미스러운 사고로 이어질 경우 후쿠시마원전사고에 준하는 위험성이 있다”며 우려를 표했다.
아울러 “안전하고 조용했던 우리 지역이 임시 방폐장이라는 오명을 쓰고 원전사고에 대한 우려를 안고 생활해야하는 작금의 현실에서 지역주민과 유성구, 유성구의회, 정치권 모두가 힘과 지혜를 모아 가야한다”며 안전대책 마련을 강력 축구했다.
한편 유성구에 위치한 한국원자력연구원은 2004년 중수 누출 사고를 시작으로 연구원 방사능 피폭, 2007년 우라늄 시료상자 분실에 이어 2011년 하나로 수조 이상으로 백색비상 발령, 2015년 하나로 내진 기준 미흡 등 안전사고에 대한 우려가 끊이지 않고 있다.
[ⓒ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