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우호 간직한 일본 속 한국정원
이승민 대기자
happydoors@localsegye.co.kr | 2015-06-30 16:15:28
아타미시, 김대중 대통령·모리요시 총리 정상회담 기념 조성
모든 재료 한국서 공수해 한국건축가가 손수 만들어
[로컬세계 이승민 특파원] 일본 도쿄에서 전차를 타고 해안을 따라 남쪽으로 2시간쯤 달려가다 보면 온천의 고장 아타미를 만난다. 이곳은 물 좋은 온천으로 인기가 좋지만 100여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매화공원도 있다.
800여그루의 매화나무가 있는 아타미바이엔 (熱海梅園)은 제일 먼저 매화가 피는 공원으로 일본에서도 유명하다. 꽃이 필 무렵이면 매화축제가 열린다. 온통 산을 물들인 꽃과 향춘객들로 어울려 장관을 이루는 곳으로 관광객만 80만명이 넘는다.
이곳 공원에는 한 폭의 그림 같은 조선시대의 한옥이 지어져 있다. 이 건물은 한국에서 만든 것이 아니라 아타미시에서 1억 900만엔(10억원)을 들여 만든 한국식정원이다.
2000년 9월 23일 고 김대중 대통령과 일본 모리요시 총리는 정상회담을 가진 뒤 다음날 24일 아타미 매화공원을 방문, 원내를 산책하며 환담을 나눴다.
아타미시는 역사적인 이 회담을 기념하고 한일간의 우호와 세계평화를 기원하는 마음을 담아 조선시대의 전통적인 양식과 기법을 도입한 정원을 조성했다. 한국건축관계자의 손으로 직접 만들어졌으며 사용된 대문, 기와, 담, 목재 등의 모든 재료들도 한국에서 가져왔다.
바깥 정원은 안쪽 정원을 돌아가는 형으로 정원길을 만들었고 흐르는 물은 분천으로부터 솟아나와 자연스러운 모양으로 아래의 연못과 연결하여 음양의 조화와 미를 더했다. 이 정원에는 복숭아 살구 개나리 도라지 무궁화 등 31종류의 크고 작은 나무들이 심어져 있어 한국의 향수와 고향적인 정감을 느낄 수 있다.
아타미시의회 다카하시 유키오 의원은 “아타미시의 예산으로 만든 이 한국정원은 한국에 대한 일본인의 친선의 표시이다. 한국인도 이러한 일본인의 마음을 알아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아타미시청의 노나카 공원녹지실장은 “한일우호의 상징인 한국정원의 건물, 정원나무, 호수 등 모든 시설물은 아타미시청에서 특별하게 보존관리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정원 조선의 집 처마에는 ‘인연의 집’이라는 라종일 전 주일한국대사의 글귀가 쓰여져 있다. 양국 정상들의 인연이 이 정원을 만들었기 때문이다.
한국에서 온 관광객 김수진 씨는 “한일수교 50주년을 맞이한 올해 일본에서 한국정원의 사연을 듣고 보니 감동스럽다. 다시 양국의 정상들이 만나 새로운 인연으로 거듭났으면 하는 바램”이라고 말했다.
모든 재료 한국서 공수해 한국건축가가 손수 만들어
▲아타미시의회 시의원 다카하시 유키오 씨가 한국정원에 있는 조선시대의 집을 가르키면서 설명하고 있다. 사진 이승민 |
800여그루의 매화나무가 있는 아타미바이엔 (熱海梅園)은 제일 먼저 매화가 피는 공원으로 일본에서도 유명하다. 꽃이 필 무렵이면 매화축제가 열린다. 온통 산을 물들인 꽃과 향춘객들로 어울려 장관을 이루는 곳으로 관광객만 80만명이 넘는다.
▲한국정원 담벼락에 새겨놓은 아타미바이엔한국정원 현판. 사진 이승민 |
2000년 9월 23일 고 김대중 대통령과 일본 모리요시 총리는 정상회담을 가진 뒤 다음날 24일 아타미 매화공원을 방문, 원내를 산책하며 환담을 나눴다.
아타미시는 역사적인 이 회담을 기념하고 한일간의 우호와 세계평화를 기원하는 마음을 담아 조선시대의 전통적인 양식과 기법을 도입한 정원을 조성했다. 한국건축관계자의 손으로 직접 만들어졌으며 사용된 대문, 기와, 담, 목재 등의 모든 재료들도 한국에서 가져왔다.
▲고 김대중 전 대통령과 모리 전 총리가 친필로 서명한 우호평화기념비. 사진 이승민 |
아타미시의회 다카하시 유키오 의원은 “아타미시의 예산으로 만든 이 한국정원은 한국에 대한 일본인의 친선의 표시이다. 한국인도 이러한 일본인의 마음을 알아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아타미시청의 노나카 공원녹지실장은 “한일우호의 상징인 한국정원의 건물, 정원나무, 호수 등 모든 시설물은 아타미시청에서 특별하게 보존관리하고 있다”고 말했다.
▲조선식 집 처마에 라종일 전 주일한국대사의 글귀 ‘인연의 집’이 걸려 있다. 사진 이승민. |
한국에서 온 관광객 김수진 씨는 “한일수교 50주년을 맞이한 올해 일본에서 한국정원의 사연을 듣고 보니 감동스럽다. 다시 양국의 정상들이 만나 새로운 인연으로 거듭났으면 하는 바램”이라고 말했다.
[ⓒ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