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선거철 노린 ‘노쇼 사기’...가짜 업체까지 동원한 지능범죄, 주의가 필요합니다
맹화찬 기자
a5962023@naver.com | 2025-05-26 17:28:19
최근 선거철을 틈타 자영업자를 노리는 신종 ‘노쇼 사기’ 범죄가 전국적으로 확산되면서 자영업자를 대상으로 한 피해가 속출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식당, 숙박업소, 카페 등 예약 중심의 업종이 주요 대상이다.
사기범들은 자신을 선거 캠프 관계자 또는 지방 선관위 직원이라며 접근한 뒤, “후보자 일정으로 대규모 식사를 예약하고 싶다.”, “선거운동원 숙소를 확보해야 한다.”고 말하며 수십명 단위의 단체 예약을 요청한다.
이어 “후보 측에서 요구한 고급 와인이나 식음료를 미리 구매해놓아 달라”며 공범 관계인 가짜 업체를 소개하고, 그 업체로 선입금을 유도한 후 돈을 받으면 잠적한다.
문제는 피해 업주들이 이 같은 수법에 쉽게 속을 수 있다는 점이다.
선거 시즌이라는 시기성과, 단체 예약이라는 기대감이 결합되면서 방심을 유도한다.
사기범들은 치밀하게 시나리오를 짜고, 말투와 명함까지 준비해 신뢰를 유도하기 때문에 순간적으로 피해를 인지하기 어렵다.
이는 단순한 장난이나 예약취소를 넘어선 지능적 사기 범죄이며, 형법상 사기죄(형법 제347조) 및 공무원사칭죄(형법 제122조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이러한 노쇼 사기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단체 예약 요청자가 선거 관계자임을 주장할 경우, 소속 정당·기관 공식 번호로 확인하거나 정식 공문을 요구해야 한다.
특히, 상품 구입 또는 선결제를 요구하면 사기일 가능성이 높으니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