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체육시설 조성 정책 재정립을 위한 워크숍

전승원

press21c@localsegye.co.kr | 2014-11-05 19:18:29

문상모 시의원 “기존 공공체육시설 공급의 난맥상을 되풀이하지 말아야”
Warning: getimagesize(http://www.localsegye.co.kr/home/localsegye/public_html/news/data/20141105/p1065608309307902_300.jpg): Failed to open stream: HTTP request failed! HTTP/1.1 404 Not Found in /home/localsegye/public_html/news/skin/default/display_amp.php on line 88

Warning: Trying to access array offset on false in /home/localsegye/public_html/news/skin/default/display_amp.php on line 89

Deprecated: DOMElement::setAttribute(): Passing null to parameter #2 ($value) of type string is deprecated in /home/localsegye/public_html/news/skin/default/display_amp.php on line 89

Warning: Trying to access array offset on false in /home/localsegye/public_html/news/skin/default/display_amp.php on line 90

Deprecated: DOMElement::setAttribute(): Passing null to parameter #2 ($value) of type string is deprecated in /home/localsegye/public_html/news/skin/default/display_amp.php on line 90

▲ 5일 ‘서울시 체육시설 조성 정책 재정립을 위한 워크숍’에서 문상모 의원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 로컬세계 

[로컬세계 전승원 기자] 서울시의회는 5일 의원회관 2층 대회의실에서 ‘서울시 체육시설 조성 정책 재정립을 위한 워크숍’을 열었다.

 
이날 워크숍에는 서울시 체육진흥과, 서울시교육청 체육건강청소년과, 서울시 체육시설관리사업소, 시설공단, 3개 체육회, 25개 자치구 등 서울시 체육관계자 80여명이 참석해 다양한 의견을 교환했다.

 
문상모 의원(새정연, 노원2)은 인사말을 통해 “인천 아시안게임, 평창 동계올림픽 등 대규모 국제행사를 위한 체육시설의 효용성과 경제성, 환경파괴 문제와 고척 돔구장이 4백억원으로 계획되었던 건립비가 3천억원으로 늘어났다”며 “향후에도 각종 체육시설의 유지보수와 신설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기존 공공체육시설의 공급과 관리의 난맥상을 되풀이하지 않기 위한 해결방안을 모색하고자 자리를 마련했다”고 말했다.

 
이어 서울시의회 이상묵 위원장(새누리, 성동2)은 축사를 통해 “체육의 중요성은 더 이상 강조할 필요성이 없을 정도이지만 이제는 공공체육시설 관련 정책에도 비즈니스 모델을 고민해야 될 때가 되었다”며 “서울시 체육정책 담당자들이 모두 모인만큼 그에 대한 해답에 한걸음 다가가는 기회가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권칠승 경기도의원은 “화성에도 천문학적인 예산이 투입된 체육시설이 있는데 겉으로 보기에는 멋있지만 연간 40여일밖에 사용하지 않으면서 관리비용은 매년 30억원씩 들어간다”며 체육시설 건립과 관리는 전국의 지방자치단체가 공통적으로 고민하는 문제임을 설명했다.

 
서울시립대 신재휴 교수는 “국제대회를 개최할 수 있는 시설이 부족한 상태에서 정치적 논리와 과장된 경제효과 분석을 통해 국제스포츠 이벤트를 유치함으로써 예상비용을 훨씬 초과하는 비용이 발생하고, 이벤트 이후에는 지속적인 유지비용이 들어가는 등 대규모 공공체육시설이 지방재정에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면서 “도시 스포츠 이벤트 유치 정책의 목적과 효과를 정립해 관광 및 산업경제 파급효과, 도시 브랜드 제고 등 스포츠와 도시마케팅이 시너지를 낼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뉴슬리(스위스 조립식 체육시설(Modular Sports Facility) 전문회사 ‘뉴슬리’)사의 렉토 전무는 “러시아는 2018 월드컵을 준비하면서 신규 축구장을 건립하지 않고 기존 축구장을 임시로 증축하여 치를 계획인데 반해 평창 동계올림픽의 경우 스키, 스케이트, 봅슬레이 등 각 종목별 경기장을 짓고 있을 뿐 아니라 개‧폐회식때만 사용할 주경기장도 건립하려 하고 있다”며 “기존의 축구장을 활용해 데이비스컵 테니스대회를 치르고 아무것도 없는 광장에 가설 스탠드를 설치해 아디다스 국제 풋살대회를 개최했던 것처럼 한번 사용하고 말 시설은 임시시설을 설치해 대회를 치른 후 철거하는 방안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한아테크 관계자(알루미늄 합금과 3중 코팅 섬유로 조립식 구조물을 만드는 기업)는 “조립식 구조물로 생활체육시설을 건립할 경우 활용도가 낮은 자투리 공간에 체육시설을 확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기존 체육시설 건립방식에 비해 예산을 상당히 절약할 수 있다”며 조립식 체육시설의 성공사례를 설명했다.

 
골드필 관계자(인조잔디 운동장 천연충진재 업체)는 “기존 고무충진재에서 유해성물질이 검출되고 충진재 유실과 주변오염, 떡짐현상 등으로 사용하지 않는 인조잔디 운동장이 많은데 황토와 왕겨를 이용한 천연충진재를 사용하면 기존 인조잔디운동장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며 방치된 인조잔디 운동장 활용방안을 제안했다.

[ⓒ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