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YWCA, 원자력硏 제66차 탈핵캠페인 가져
오영균
gyun507@localsegye.co.kr | 2016-12-06 20:40:43
[로컬세계 오영균 기자]대전YWCA, 소비자환경위원회는 6일 대전원자력연구원 정문 앞에서 ‘사용후핵연료 재처리실험계획 전면 취소 촉구’성명서를 발표했다.
▲ 대전YWCA 회원들이 북대전IC네거리에서 한국원자력연구원 정문 앞까지 사용후 핵연료 실험계획 중단을 촉구하는 도보행진을 벌이고 있다. 오영균 기자. |
대전YWCA, 소비자환경위원회는 성명서를 통해 “핵발전소 밀집도 세계1위를 자랑하는 우리나라는 현재 좁은 국토에 총 25기나 되는 핵발전소가 운영 중에 있다”고 밝혔다.
이들은 건설 중인 3기와 앞으로 건설할 예정인 핵발전소 8기까지 합치면 2026년까지 모두 36기의 핵발전소가 들어서게 된다고 우려했다. 더군다나 활성단층 지역인 월성, 고리, 신고리에 있는 핵발전소 16기 주변에는 500만 명 이상의 인구가 살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는 신고리 5·6호기 건설계획을 승인해 건설을 강행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2011년 후쿠시마 핵발전소 사고 이후 우리 국민과 인류 전체는 핵발전소가 얼마나 위험한지 다시 한 번 알게 됐다”며 “첨단 기술과 안전성을 자랑하던 핵발전소는 지진과 쓰나미 앞에 처참하게 무너졌고 사고 이후 아직도 회복되지 못한 채 방사성 물질을 계속 내뿜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그럼에도 정부는 후쿠시마의 교훈을 망각한 채 노후 핵발전소 수명연장을 멈추지 않고 핵 위험을 확대하는 연구개발에 막대한 세금을 낭비하고 있다”며 ‘지역 주민의 의사를 무시한 고준위 핵폐기물 관리계획도 일방적으로 강행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대전에서는 인구 150만 대도시 한복판에 사용후핵연료(고준위방사성폐기물)와 손상핵연료가 1987년부터 다수 운반되어 각종 실험에 사용되고, 보관해 왔다는 것은 대전시민의 건강과 안전을 완전히 무시한 것이나 다름없다. 더 이상 대전시민의 생명을 위협하는 사용후핵연료 재처리 실험을 용납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