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청, FTA 교역이 지속적 수출 증가에 기여한다
박민
local@ocalsegye.co.kr | 2017-07-31 22:29:53
[로컬세계 박민 기자]관세청은 FTA 발효국(52개국)과의 상반기 FTA 활용률 및 이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FTA활용지도를 공개했다.
31일 관세청에 따르면 상반기 FTA 교역은 수출 2025억 달러, 수입 1479억 달러로 전년 동기대비 17.6% 증가되면서 546억 달러 흑자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비발효국 교역에 비해 증감률이 수출은 7.4%p 높고, 수입은 12.0%p 낮게 나타나 FTA 교역이 수출을 주도했다.
특히 호주(222.0%),베트남(53.5%),인도(22.7%),EU(22.1%),의 수출 증가폭이 컸다.
협정별 수출활용률은 65.9%로 전년동기대비 2.0%p 증가, 수입활용률은 70.0%로 0.2%p 감소했다.
수출활용률은 캐나다(93.8%), EU(85.0%), 미국(82.6) 등이 높고, 수입활용률은 칠레(99.4%), 콜롬비아(88.8%), 베트남(85.2) 순이다.
발효 3년차인 한-중 FTA는 수출활용률이 42% 수준으로 전년동기대비 9%p 이상 확대돼 안정적으로 정착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캐나다와는 수출(93.8%) 및 수입활용률(81.7%)이 모두 80%를 상회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은 자동차 등 수송기계류의 관세가 완전 철폐된 효과로 수출활용률이 증가했으며 수입활용률은 소폭 하락했다. 뉴질랜드는 철강 및 전기전자제품 수출 확대로 수출활용률이 증가했다.
다만 아세안 수출활용률은 말레이시아, 필리핀 등으로 철강 및 기계류의 대단위 설비 수출이 확대됐으나, 상대국의 FTA 활용요구가 없어 상대적으로 하락 한 것으로 분석됐다.
산업별은 수출활용률은 자동차·차 부분품·고무타이어 등 자동차 산업의 FTA 활용이 우수해 기계류(81.8%)와 플라스틱고무(69.3%)제품이 높게 나타났다.
수입활용률은 농림수산물(89.0%)과 섬유류(80.9%) 등 주요 소비재를 중심으로 활용실적이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지자체별 수출활용률은 FTA 특혜품목의 생산 비중이 큰 전남(81.0%), 본사가 집중된 서울(76.8%), 인천(75.3%)이 높고, 수입활용률은 세종(82.5%), 경북(80.8%) 대구(79.3%) 순으로 철강.화공·섬유류의 원부자재 수요가 높고, 제조 공장이 밀집한 내륙지역의 활용률이 높게 나타났다.
FTA 활용지도는 협정별.산업별.지자체별 올해 분기별 활용률을 알기 쉽도록 지도화해 전자책(e-book) 형태로 관세청 FTA 포탈(http://fta.customs.go.kr)을 통해 제공된다.
[ⓒ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