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한국해양대에 혁신융합캠퍼스 만든다

전상후 기자

sanghu60@naver.com | 2022-07-13 09:05:48

국토교통부 ‘혁신융합캠퍼스 구축 사업’ 전국 유일 선정
국비 16억5000만원 확보, 시비 등 총사업비 33억원 투입
‘동삼혁신도시 혁신융합캠퍼스’ 구축·운영
해양수산분야 최고 인프라 구축, 인공지능·사이버보안 관련 전문 인재 양성
이전 공공기관과 연계한 산학연 활성화, 지역대학·인재 경쟁력강화 기대
▲부산 영도구 동삼혁신도시 안에 조성될 예정인 혁신융합캠퍼스 내 한국해양대의 산학허브관 전경. 부산시 제공

[로컬세계 부산 = 전상후 기자] 부산시가 ‘해양신신업 혁신융합 캠퍼스’를 한국해양대에 조성한다.

13일 부산시에 따르면 시는 국토교통부 공모사업인 ‘2022년 혁신융합캠퍼스 구축 사업’에 선정돼 총사업비 33억원을 투입해 해양수산분야 최고의 산학연 연계협업 강화에 나선다.

국토교통부가 주관하고 국토연구원이 지원하는 ‘혁신융합캠퍼스 구축사업’은 혁신도시 산학연 연계협력 강화를 위해 혁신도시 인근 지역 대학과 이전공공기관을 중심으로 공동 융합캠퍼스를 구축하는 사업이다.

부산시 관계자는 “사업의 추진내용과 미래 전망성, 그리고 한국해양대가 혁신도시 안에 위치해 있는 점, 한국해양대가 지닌 해양 관련 인프라 등에서 좋은 평가를 받아 혁신도시 중 유일하게 선정돼 국비 16억5000만원을 받았다”라고 말했다.

이번 사업에서는 전국에 산재한 12개 혁신도시 중 6개 도시가 선정될 계획이었으나 캠퍼스 조성과 학과 신설 등에 대한 교육부 승인 등 사업 선정을 위한 절차적 요건이 까다로워 대부분 도시가 선정되지 못했다.

12개 혁신도시는 부산과 대구, 광주전남, 울산, 강원, 충북, 전북, 경북, 경남, 제주, 충남, 대전이다.

부산시는 한국해양대를 중심으로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등 동삼혁신지구 내 해양·수산 관련 이전 공공기관과 부산대 등 지역 9개 대학과 협력해 미래해양 신산업 육성 및 지역사회 발전을 선도하는 해양항구(PORT)로 ‘해양신산업 혁신융합캠퍼스’를 오는 9월부터 구축한다.

사업 참여 지역 대학 9곳은 경성대와 동명대, 동서대, 동의대, 부경대, 부산과학기술대, 부산대, 신라대 등이다.

시는 먼저 해양신산업 분야의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혁신지구 내 위치한 산학허브관에 ▲해사 인공지능·보안학부 ▲해양과학기술전문대학원 ▲KMI(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학연협동과정 ▲계약학과(기계IT융합공학과, 친환경스마트선박학과)를 이전·신설해 산학연 교육 및 연구개발 기반을 마련한다.

계약학과란 기업이나 산업체의 맞춤형 인력을 양성하는 학과다. 대학이 국가, 기업체, 산업체와 계약하여 설치 및 운영한다. 예를 들어 성균관대 반도체시스템공학과, 연세대 시스템반도체공학과 등을 말한다.

또 해양신산업 분야 연구 인프라를 위해 ▲혁신지구 빅데이터 해양 서버실 통합관제실과 서버실 ▲산학 인공지능(AI) 및 해양 사이버보안 실습실 ▲기술이전, 창업 공간(오션플랜 스페이스) 및 오픈랩 ▲사람-기술-산업 연계를 통한 기업 협업 체계화 네트워크(ICON) 구축 등을 추진한다.

부산시는 해양신산업 혁신융합캠퍼스 조성을 통해 혁신도시와 연계한 해양신산업 분야의 교육과 연구를 활성화하고, 이전공공기관·지역 대학과 협력하여 해양신산업 분야의 첨단해양 특화 산학 생태계를 구축한다.

나아가 순환 체계 및 상생협력 시스템을 만들고, 미래 해양산업을 선도하는 글로벌 해양 인재를 양성해 지역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한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동삼혁신도시 내 이전공공기관과 한국해양대를 중심으로 해양신산업 분야의 첨단해양 특화 산학 생태계를 조성하게 되면 지역 기업의 경쟁력 강화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