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경기도민 10명 중 3명은 “결혼 안해도 된다”

주덕신

jdsdpn@naver.com | 2017-07-23 09:19:56

“결혼 안해도 상관없다” 20대 31.9%, 30대 21.3%

[로컬세계 주덕신 기자]20대 경기도민의 31.9%는 결혼을 하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하며, 34.1%는 자녀가 없어도 상관없다고 답해 결혼과 출산에 대한 인식 수준이 비슷한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연구원이 20일 낸 ‘경기도민 삶의 질 조사 IV: 가족’ 보고서에 따르면 20대 31.9%, 30대 21.3%가 결혼을 하지 않아도 된다고 응답한 반면 40대는 18.1%, 50대 16.0%, 60대 9%, 70대 8.5%, 80대 9.6%로 나타났다.

▲경기연구원, 결혼에 대한 인식. 

결혼을 해야 한다고 응답한  50대 이상은 과반수였지만 20대에서는 그 비중이 37%로 조사됐다.

 
자녀가치에 대한 조사에서는 20대 34.1%와 30대 24.7%는 자녀가 없어도 상관없다고 응답했다. 반면 40대 16.2%, 50대 14.4%, 60대 이상에서는 9%미만으로 나타났다.


선호하는 자녀수에 대해 2030세대는 1.6명으로  70대 이상은 2명 이상으로 나타나 연령대가 낮아질수록 선호하는 자녀수가 적은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20대는 외동이가 두 자녀 보다 적당하다고 응답했다.

▲자녀에 대한 인식. 


미혼 남성의 71%는 향후 결혼의향이 있다고 답했지만 미혼 여성의 경우 59.8%가 결혼의향이 있다고 답해 전반적으로 여성이 남성에 비해 결혼의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의 결혼의향이 낮게 나타난 결과는 여성이 여전히 가사와 양육을 거의 전담하는 소위 “독박육아”가 극복되지 않은 현실을 잘 반영한 것으로 보고있다.

이병호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결혼을 통한 출산이라는 전통적 규범이 여전히 강한 한국 상황에서 초저출산 현상은 결혼과 출산에 대한 가치가 동시에 낮아짐으로 인해 심화되고 있다”며 “사회 전체적으로 결혼에 대한 부담과 성혼의 과정에서 갈등을 극복할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이 연구위원은 “결혼의식과 출산의식 사이에는 강한 동조화 현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결혼장려정책과 출산장려정책은 별개의 사업이 아닌 한 묶음으로 추진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가족과 떨어져 1인 가구로 분가한 주된 이유로 직장문제(47.7%)를 가장 많이 꼽았다. 그 다음으로 사별(30.6%), 가정불화(10.6%), 기타(8.3%), 학업(1.5%), 건강문제(1.4%) 순으로 나타났다.

 

▲1인가구 분가사유. 

[ⓒ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