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 예비후보 등록 D-1…선거구 획정 여전히 ‘평행선’
이서은
local@localsegye.co.kr | 2015-12-14 08:15:40
내일(15일) 국회 정개특위 활동 시한 종료…사상 초유의 선거구 미획정 사태 발생 우려
비례성 확보 방안 놓고 이견 좁히지 못해
▲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왼쪽)와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오른쪽).<사진출처=새정치민주연합 홈페이지> [로컬세계 이서은 기자] 내년 20대 총선 예비후보자 등록일이 하루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여야 정치권이 여전히 선거구 획정안을 마련하지 못하면서 사상 초유의 선거구 미획정 사태 발생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비례성 확보 방안 놓고 이견 좁히지 못해
특히 선거구 획정을 위한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의 활동 시한도 같은 날 종료되지만 여야는 지역구 및 비례대표 의석수를 놓고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있어 정개특위는 또 다시 ‘빈손’으로 종료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여야는 농어촌 지역구 축소를 최소화하기 위해 지역구 의석수를 늘리고 비례대표를 줄인다는 데 의견을 모았으나, 비례성 확보 방안 등 구체적인 기준을 놓고는 첨예한 대립을 이어가고 있다.
새누리당은 300석인 현행 의원 정수를 유지하면서 농어촌 지역의 대표성을 보장하려면 54석인 비례대표 의석을 7석 가량 줄이고, 대신 지역구 의석을 7석 안팎으로 늘려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 새정치민주연합은 비례성 확보와 사표 방지를 위해서는 지역구 득표율에 비례대표 의석이 연동되는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도입해야 한다는 입장을 내세우고 있다.
여야는 이날과 정개특위 활동 종료일인 내일(15일)까지 이틀에 걸쳐 담판 협상을 재차 시도할 것으로 보이나, 양당이 기존 입장을 굽히지 않는다면 합의를 이루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처럼 선거구 획정이 늦어지면서 내일부터 예비후보로 등록하는 정치 신인이나 원외 인사들이 혼란을 겪을 것으로 보이며, 연말을 넘길 경우 후보 자격이 무효가 돼 곤란한 처지에 놓일 것으로 우려돼 정치권에 대한 비난 여론이 거세지고 있다.
[ⓒ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