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책연구기관 청년인턴 실효성 ‘ZERO’…채용방식 전면개선 절실

조윤찬

ycc925@localsegye.co.kr | 2015-10-05 10:33:28

박병석 의원 “잡무와 보조역할로 업무습득 안돼”

▲박병석 의원.
[로컬세계 조윤찬 기자] 경제인문사회연구회와 산하 연구기관들이 청년인턴 채용에 있어 무늬만 화려하고 실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채용방식에 있어 전면개선이 절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병석 국회의원(새정연·대전서갑)은 5일 국회에서 열린 경제인문사회연구원 국정감사에서 “국책연구기관들의 청년인턴채용 제도는 업무습득을 통한 우수인력 양성과 청년고용 활성화에 도움이 돼야 하는데 인턴기간이 종전 11개월에서 지난해부터 5개월로 단축돼 인턴 본인은 물론 연구기관에도 별 도움이 되지 않고 있어 전면적 제도 개편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어 박 의원은 “정부가 청년인턴을 많이 채용했다는 실적을 올리기 위해 채용기간을 2014년부터 11개월을 5개월로 축소했다”며 “이 때문에 인턴 근무가 끝난 이후 당사자는 실업급여도 못 받고 다른 직장을 가려해도 경력을 인정받지도 못하는 등 무늬만 인턴제도”라고 비판했다.  

현행제도 아래에서는 최소 경력 6개월 이상이라야 실업급여나 다른기관 이직 때 경력을 인정 받을 수 있다. 

박 의원은 “그 대안으로 청년인턴 채용기간을 늘리고 예산범위내에서 각 연구기관들이 탄력적 운영을 하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경제인문사회연구회과 23개 국책연구기관이 2015년 청년인턴 490명 채용계획 대비 8월말 현재 435명 채용(88.7%) 했지만 예산은 43억 3000만원 대비 22억 9000만원만(49.3%) 집행했다”며 “이는 경인사에 채용된 인턴들의 중간퇴사 등 잦은 교체가 원인으로 이에 대한 근본적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 의원은 “청년들의 사회 진출에 실질적 도움을 주는 청년인턴 제도가 되기 위한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면서 “최소한 실업급여 수급 가능하고 경력이 인정될 수 있도록 제도를 보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