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자립 준비 청년’의 안부를 묻다
전상후 기자
sanghu60@naver.com | 2022-09-06 12:23:46
9~10월, 자립 준비 청년 집중 사후관리 실시
지원 필요 대상자 발굴 및 자원 연계
보호종료 5년 이내 자립준비청년 전체 기본 사후관리
집중관리 필요시 자립지원통합서비스 대상자로 선정
전분야 맞춤형 사례관리 지원
[로컬세계 부산=전상후 기자] 부산시는 보호 종료 5년 이내 ‘자립 준비 청년’을 대상으로 9~10월 2개월간 집중 사후 관리를 실시한다고 6일 밝혔다.
사후관리 대상은 2017년 7월~2022년 7월 사이 아동복지시설, 가정위탁 보호 종료 자립 준비 청년이다. 사후관리 목적은 긴급한 지원이 필요한 대상자를 조기 발굴하고 필요한 자원 연계를 위한 것이다.
먼저 자립지원전담기관(부산보호아동자립지원센터) 자립지원전담인력이 보호종료 5년 이내 전체 자립준비 청년을 대상으로 자립 수준 평가와 사후관리 모니터링지를 활용해 기본 사후관리를 실시한다.
아울러 초기상담을 통해 집중 관리가 필요한 대상자는 ‘자립지원통합서비스 대상자’로 선정해 월 1회 상담과 함께 소득.주거.취업.심리정서 등의 자립지원비 지원 및 민관 자원 연계 집중 사례관리를 실시한다.
부산시는 올해 초 타 시·도 보다 우선해 자립지원전담기관 운영을 시작했으며, 지난 4월 구.군 관할 아동양육시설, 공동생활가정, 가정위탁지원센터를 통해 보호종료 5년 이내 자립준비 청년 전체 명단을 확보했다.
또 7월 말 자립지원전담인력 9명을 배치, 8월 말 기준 전체 1092명 중 794명에 대해 기본 사후관리를 마쳤다. 이 중 145명을 자립지원통합서비스 대상자로 선정하여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사후관리 미실시 인원에 대해서는 이번 집중 사후관리 기간에 우선적으로 정기 사후관리를 진행하며 기존 실시 인원에 대해서도 생활 상태를 수시 점검할 계획이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최근 타 지역에서 발생한 자립 준비 청년의 극단 선택에 대해서 매우 안타깝게 생각한다”며 “청년들이 지역사회에서 외로움과 사회 진출에 대한 불안감을 느끼지 않도록 시가 더욱 책임감을 가지고 자립체계를 강화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지원 필요 대상자 발굴 및 자원 연계
보호종료 5년 이내 자립준비청년 전체 기본 사후관리
집중관리 필요시 자립지원통합서비스 대상자로 선정
전분야 맞춤형 사례관리 지원
▲부산시청사 전경. 로컬세계 자료사진 |
사후관리 대상은 2017년 7월~2022년 7월 사이 아동복지시설, 가정위탁 보호 종료 자립 준비 청년이다. 사후관리 목적은 긴급한 지원이 필요한 대상자를 조기 발굴하고 필요한 자원 연계를 위한 것이다.
먼저 자립지원전담기관(부산보호아동자립지원센터) 자립지원전담인력이 보호종료 5년 이내 전체 자립준비 청년을 대상으로 자립 수준 평가와 사후관리 모니터링지를 활용해 기본 사후관리를 실시한다.
아울러 초기상담을 통해 집중 관리가 필요한 대상자는 ‘자립지원통합서비스 대상자’로 선정해 월 1회 상담과 함께 소득.주거.취업.심리정서 등의 자립지원비 지원 및 민관 자원 연계 집중 사례관리를 실시한다.
부산시는 올해 초 타 시·도 보다 우선해 자립지원전담기관 운영을 시작했으며, 지난 4월 구.군 관할 아동양육시설, 공동생활가정, 가정위탁지원센터를 통해 보호종료 5년 이내 자립준비 청년 전체 명단을 확보했다.
또 7월 말 자립지원전담인력 9명을 배치, 8월 말 기준 전체 1092명 중 794명에 대해 기본 사후관리를 마쳤다. 이 중 145명을 자립지원통합서비스 대상자로 선정하여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사후관리 미실시 인원에 대해서는 이번 집중 사후관리 기간에 우선적으로 정기 사후관리를 진행하며 기존 실시 인원에 대해서도 생활 상태를 수시 점검할 계획이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최근 타 지역에서 발생한 자립 준비 청년의 극단 선택에 대해서 매우 안타깝게 생각한다”며 “청년들이 지역사회에서 외로움과 사회 진출에 대한 불안감을 느끼지 않도록 시가 더욱 책임감을 가지고 자립체계를 강화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