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의료기관 중국 진출 러쉬

라안일

raanil@localsegye.co.kr | 2016-03-02 13:10:36

한류 덕에 피부‧성형 활발

▲지난해 8월 16일 UAE 왕립병원 로비에서 열린 위탁운영 1주년 기념식에서 내빈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로컬세계 라안일 기자] 국내 의료기관이 중국시장 진출을 활발히 하고 있다. 한류 영향으로 피부‧성형 수요가 지속되고 있고 중국 정부의 의료특구 조성 등 시장개방 정책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2015년 의료기관 해외진출 현황’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해외진출 의료기관은 18개국 141건으로(누적) 2010년 58건 이후 5년간 143% 증가했다. 

중국은 최다수 의료기관이 진출한 국가로 조사됐다. 중국은 52건으로 가장 많은 37%의 비중을 차지했으며 미국(33건, 23%), 카자흐스탄(9건, 6%), UAE(8건, 6%) 순이었다.

국내 의료기관들은 한류 바람에 편승해 중국 진출을 노린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국내 드라마 속 배우들의 영향으로 미용·성형 수요가 지속되고 있는 점이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힌다. 여기에 중국 정부가 의료특구 조성, 해외투자 장려정책 등 시장개방 정책을 지속적으로 펼친 점도 한 몫했다.

▲지난해 국내의료기관의 진출국 그래프. 자료제공 한국보건산업진흥원 (15년도 자체조사 결과)

중국내 한류 열풍이 지속될 것으로 보이면서 국내 의료기관의 중국 진출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국내 의료기관, 의료기관과 공동으로 해외진출을 준비하는 기관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와 전화조사에서 향후 해외진출 준비 건수는 51건 중 30건이 중국진출을 준비하는 프로젝트로 조사됐다. 이는 약 60%에 달하는 수치다.

중국에 이어 두 번째 비중을 차지하는 미국은 한방 분야에서 주로 진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에서 한의사 면허취득이 용이해졌기 때문이다.

UAE는 서울대병원과 서울성모병원 진출로 대형병원 진출의 첫 물꼬를 튼 의미가 있다.

진출형태별로 살펴보면 프랜차이즈가 34건(24%)으로 가장 많았고 단독투자 29건(21%), 합자·합작과 라이센싱 각 24건(17%)으로 뒤를 이었다.

진료과목별로는 피부‧성형 54건(38%) 한방 22건(16%), 치과가 18건(13%) 등의 순이었다.  

의료기관들은 현지 정보부족, 진출국의 법‧제도 규제, 국내법상 규제 및 전문인력 부족 등을 애로사항으로 꼽았다.

[ⓒ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