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안부, 국민 70% “정부서비스 인공지능 기술적용 필요”
최종욱 기자
vip8857@naver.com | 2018-12-03 14:43:11
행정안전부는 지난달 1~6일 만 19~79세 전 국민 1012명에게 ‘지능형정부 로드맵 수립을 위한 전화 설문조사’를 실시하면서 이러한 결과가 나왔다고 3일 밝혔다.
이번 전화 설문조사는 인공지능 기술도입에 대한 국민선호도와 서비스 추진방향에 관한 국민의견을 반영하기 위해 진행됐다.
행안부가 공개한 이번 조사 결과에 따르면 대상 국민의 85.7%가 인공지능 개념을 인지하고 있고 이러한 인공지능 기술적용이 필요한 정부서비스로는 38.0%가 ‘민원신청 및 처리’를 꼽은 것으로 파악됐다.
이어 ‘행정정보에 대한 안내(22.1%)’, “콜센터 등 궁금한 사항에 대한 질의응답(21.7%)”순으로 나타났다.
국민들은 이러한 지능형 정부서비스가 제공되면 ‘24시간 어디서나 서비스 이용 가능(41.8%)’, ‘대기시간 없는 민원처리(26.9%)’, ‘몰라서 받지 못했던 혜택받기(19.6%)’ 등이 좋아질 것으로 기대했다.
또 의료·복지(30.3%)’, ‘주민생활(20.1%)’, ‘교통·이동(18.4%)’, ‘안전·환경(16%)’ 순으로 인공지능 기술이 우선적으로 도입돼야 할 서비스 분야로 선택했다.
의료·복지 세부분야에서는 예방접종·건강검진 안내가 22.8%, 병원·약국 정보검색 및 예약이 22.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주민생활에서는 증명서 발급이 28.2%, 이어 법률상담과 세금정산·납부가 각각 16.9%, 16.8%로 조사됐다.
교통·이동 분야에서는 교통정보 관련 추천·안내가 43.9%로 대중교통 예약(20.3%)보다 2배 이상 높았고, 안전·환경 세부분야에서는 재난예방·대피 안내가 31.1%로 가장 많았다.
특히 88.5%의 국민들은 미래의 지능형 정부서비스가 ‘몸이 아프거나 도움이 필요한 사람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도움을 요청하거나 지켜주는 듬직한 동반자’가 되기를 원했다.
잇따라 ‘24시간 편리한 도우미(82.9%)’, ‘내 상황을 알고 처리해주는 똑똑한 개인비서(75.6%)’의 모습으로 발전되기를 희망했다.
우려사항에 대해서는 36.9%가 개인정보 오·남용을 가장 많이 걱정했으며 다음으로 ‘부정확한 답변 등 낮은 서비스 품질’이 33.9%, ‘어려운 이용방법’이 14.9%를 차지했다.
행안부는 이번 대국민 설문조사를 통해 전자정부를 더 똑똑하게 만드는 ‘문재인정부의 지능형정부 로드맵’ 계획에 대한 국민의 관심과 기대가 더욱 커질 것으로 보고 있다.
정윤기 전자정부국장은 “국민들이 인공지능 기술의 정부서비스 적용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어 지능형정부로의 발전 필요성이 보다 분명해졌다”며 “국민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순위를 고려해 실효성 높은 서비스를 발굴하고 범정부 협의체 및 민간전문가, 국민디자인단의 검토를 거쳐 지능형정부 로드맵에 담을 계획”이라고 말했다.
[ⓒ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