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준 수원시장 “과밀억제권역 해법은 비수도권과 상생 돼야”
김병민 기자
bmk8899@naver.com | 2025-11-21 08:25:38
규제 완화·생활 인프라 연계 등 상생모델 제시
연구용역·사례발표·’26년 추진계획 보고…9개 지자체 참석
이재준 수원시장이 과밀억제권역 자치단체 공동대응협의회 정기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수원시 제공
연구용역·사례발표·’26년 추진계획 보고…9개 지자체 참석
[로컬세계 = 김병민 기자] 경기 수원시는 과밀억제권역 자치단체 공동대응협의회 정기회의가 지난 20일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열렸다고 21일 밝혔다. 대표회장인 이재준 수원특례시장은 “과밀억제권역 지방정부 공동대응의 핵심은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상생’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시장은 “수원시는 소멸위기지역인 봉화군과 협력해 봉화군에 ‘청량산 수원캠핑장’을 운영하고 있다”며 “수도권이 성장해야 비수도권도 함께 살 수 있다는 점을 알려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의 ‘5극 3특’ 구상에 수도권이 포함된 것은 수도권을 경제 수도로 삼겠다는 메시지”라며 “경제 수도로서 수도권이 맡을 역할을 함께 고민하자”고 제안했다.
회의는 환영사에 이어 고양연구원의 ‘수도권 과밀억제권역 규제 완화를 통한 비수도권 상생 방안’ 연구용역 결과 발표, 수원시의 ‘도농 간 생활 인프라 상생협력—수원·봉화 사례’ 발표, 협의회 운영성과 및 2026년 추진계획 보고 순으로 진행됐다.
이날 수원시를 포함한 과밀억제권역 9개 지방정부의 시장·부시장이 참석해 규제 합리화, 광역 협력사업 발굴, 생활·교통 인프라 연계 등 실천 과제를 논의했다. 과밀억제권역 12개 도시는 2023년 11월 공동대응협의회를 발족했으며, 지난해 7월에는 ‘과밀억제권역 규제완화 TF’를 구성해 공동 대응 체계를 운영 중이다.
[ⓒ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