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납치문제조사단 27일 방북
이승민 대기자
happydoors@localsegye.co.kr | 2014-10-22 19:21:50
▲ 일본 납치문제조사단 27일 방북 © 로컬세계 |
일본 정부 대변인인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은 기자회견을 통해 실무단을 27일부터 30일까지 나흘간의 일정으로 북한에 파견한다고 밝히면서 “모든 납치 피해자의 귀국을 위해 전력을 다할 것이다”고 정부의 뜻을 전했다.
방북단의 단장을 맡게 된 이하라 준이치(伊原純一)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은 방북 기간 중 28일~29일 이틀 간 북한의 납치문제 특별조사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는 서대하 국방위원회 안전 담당 참사 겸 국가안전보위부 부부장 등 특별조사위와 면담할 예정이다.
납치문제와 관련한 일본 실무단의 북한 방문은 지난 2004년 10월 이후 10년 만에 이뤄지게 된다.
실무단은 이번 방묵을 통해 서대하 위원장에게 납치문제가 최우선이라는 아베수상의 의지를 직접 전달하고 납치문제 재조사의 상황을 상세하게 점검할 방침이다.
지난달 29일 중국 선양(瀋陽)에서 열린 북·일 외무성 국장급 협의 때 일본 측 당국자를 방북케 해 직접 납치문제 조사상황을 청취할 것을 제안한바 있다.
북한은 ‘특별조사위원회’를 설치하고 납치 피해자 및 행방불명자, 1945년 전후 사망한 일본인 유골 및 묘지, 잔류일본인, 일본인 배우자 등에 대한 포괄적인 조사를 진행키로 하고 일본인 유골처리와 생존자가 발견되면 귀국시키도록 했다.
이에 대해 일본은 북일간 인적왕래 규제, 송금 및 휴대금액 제한규제, 북한 국적 선박의 일본입항금지 등을 해제하기로 했다.
일본은 지난 7월초 특별조사위원회의 활동 개시에 맞춰 인적 왕래와 대북 송금 규제를 해제하고 인도주의 목적의 북한 선박 입항을 허용했다.
북한은 납치자 13명을 인정하고 있으며 이 가운데 일본에 귀국시킨 5명 이외에 8명은 모두 사망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일본정부는 최소한 17명 이상이 납치되었을 것으로 보고 피해자 전원이 생존해 있을 것이라는 예상 아래 확실한 진상조사를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양국은 지난 2008년 8월 실무자 협의를 통해 북한에 위원회를 설치하고 재조사 작업에 착수하기로 합의했으나 그해 9월에 북한이 위원회 설치를 연기하겠다고 일방적으로 통보한 이후로 아직까지 아무런 진전을 보이지 않고 있다.
한편 북한 공작원은 당시 중학교 1학년이던 요코타 메구미(13)양을 1977년 11월 일본 니가타현 해안가에서 납북했다.
북한은 2002년 평양을 방문한 고이즈미 준이치로 일본 수상에게 일본인 납치를 처음으로 시인하고 그해 10월 17명의 납북자 중 5명을 일본으로 돌려보냈다.
북한은 메구미 씨를 사망했다고 주장했지만 2004년 북한이 보낸 메구미 씨의 유골이 유전자 감식결과 가짜로 드러났다.
북한은 1970년대와 1980년대 일본인을 납치해 공작원의 일본인 위장을 위한 교사로 이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