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정족수 부족, 빨리 문 부수고 들어가 의원들을 끄집어내라’는 윤석열 대통령의 전화지시 받았다”
“현장 지휘관과 상의, ‘병력들 범법자 되고, 너무 많이 다친다’는 생각 아래 작전중단 지시했다”
‘12.3 내란사퇴’ 관련 '내란죄' 스모킹 건 확실 시
![]() |
▲ 곽종근 전 특전사령관이 10일 국회 모처에서 “‘아직 정족수가 부족한 것 같으니 빨리 문 부수고 들어가 의원들을 끄집어내라’는 윤석열 대통령의 비화폰 전화 명령을 받았다”라는 요지의 ‘구국의 양심고백’ 진술을 하고 있다. 과 사령관은 이 진술을 국회 국방위에서 그대로 반복했다. JTBC 뉴스 화면 캡처 |
[로컬세계=전상후 기자] 곽종근 전 특전사령관이 “‘문 부수고 들어가 의원들 끄집어내라’는 대통령 명령 거부했다”라고 ‘구국의 양심고백’ 진술을 국회에서 했다.
10일 오후 속개한 국회 국방위 ‘12.3 내란사퇴’ 관련 군 지휘관들과 관련한 현안 질의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직접 특전사령관에게 전화해 “문 부수고 들어가 국회 의원들을 끄집어내라”고 지시했다는 양심고백 진술이 나왔다.
이에 앞서 박 전 사령관은 ‘공익신고’ 절차를 거쳤다.
이날 박범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의사진행 발언을 통해 “점심 직후 이 자리에 계신 곽종근 전 특전사령관이 보자고 해서 국회 모처에서 만났다. VIP 윤석열 대통령이 두 번째 전화에서 국회 내에 있는 인원들, 국회의원들을 말하는데, ‘밖으로 끄집어내라. 문을 부수고 들어가서 끄집어내라. 아직 의결 정족수가 안 됐다’. 이렇게 지시를 내렸다”라고 밝혔다.
박 의원은 이어 “곽종근 사령관은 12월 3일 비상계엄 이틀 전인 12월 1일 ‘계엄에 대한 사전 내용을 알고 있었다’는 거다. 어디로 가야 될 것인지를. 그렇지만 여단장들이 공범이 될까 봐 차마 여단장들에게 얘기하지 못했다고 한다”며 “곽종근 사령관은 12월 1일 사전에 알았다는 이 점에 대해서 검찰에 진술하지 않았다. 이미 비상계엄 관련자들의 말이 맞춰져 있기 때문에 진술하지 않았다고 저에게 공익신고를 했다. 본인이 군 형법상의 군사 반란에 해당하는 죄를 지었다고 공익신고를 한 바도 있다”라고 전했다.
이 말은 들은 유용원 국민의힘 의원은 “지금 말씀을 들으니 당시 대통령께서 두 번째 통화 때 문을 부수고 국회의원을 끌어내라 이런 말씀을 하셨다는 얘기가 있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말씀이 있었느냐?”고 곽 사령관에게 다시 물었다.
곽 사령관은 “오전에는 제가 (대통령께서) 전화하신 구체적인 사항은 말씀드릴 수 없다고 답변을 드렸지만, 제가 지금부터 말씀드리는 것은 제가 예하 부대에 지시해서 투입한 이 사항에 대해서 오로지 제가 책임을 통감하고 있고 지겠다는 말씀을 드리면서 말씀을 드리겠다”고 말문을 열었다.
이어 “대통령께서 비화폰으로 제게 직접 전화를 두 번 하셨습니다. 첫 번째는 707특임단의 이동상황을 물으셨고, 두 번째 통화에서 ‘의결 정족수가 아직 다 안 채워진 것 같다. 빨리 문을 부수고 들어가서 안에 있는 인원들을 끄집어내라’라고 말씀을 하셨습니다”라고 폭로했다.
![]() |
▲ 곽종근 전 특전사령관이 10일 국회 모처에서 비감을 표정으로 ‘구국의 양심고백’을 하는 모습이 역력하다. JTBC 뉴스 화면 캡처 |
곽 사령관은 “그 지시사항을 듣고 ‘이것을 어떻게 해야 하나’ 그래서 현장에 있는 지휘관들과 공포탄을 쏴서 들어가야 되나, 전기를 끊어서 못 하게 해야 되나, 이런 부분들에 대해 논의했었고 현장 지휘관은 ‘그건 안 됩니다. 제한됩니다’라고 저한테 분명히 얘기했고 저도 그 부분이 분명히 맞고 옳다고 판단했습니다. 설사 지시사항을 이행하기 위해서 들어가게 되더라도 우리 들어간 작전 병력이 나중에 법을 이행해야 되는 범법자가 되는 문제와 강제로 깨고 들어가면 너무 많은 인원이 다치기 때문에 차마 그것은 옳지 않다고 판단했습니다. 그래서 현 위치에서 더 이상 안으로 진입하지 말라고 중지를 시켰습니다. 중지를 시키고 이동하는 상황을 보기만 하고 더 이상 작전하지 않도록 했습니다. 이후에 01시 01분에 비상계엄령 해제되는 상황을 보고, 제가 2분 정도 뒤에 그 상황을 인식했는데 01시 09분 부로 국회뿐만 아니고 각 지역에 전개했던 특전사 모든 부대에 대한 임무를 중지시키고 안전 지역으로 이탈을 시켰습니다. 이탈시킨 이후에 부대복귀를 명령하였습니다. 이것이 당시에 제가 지휘 조치하면서 판단하고 조치했던 사항을 솔직하게 말씀드렸습니다.”라고 매우 자세하게 진술했다
이에 유용원 의원이 “그러면 그 조치 사항에 대해서 대통령께 보고드렸느냐?”라고 묻자, 곽 사령관은 “보고드리지 않았고 철수할 때 전임 국방부 장관에게 현 상황을 설명드리고 철수한다고 말씀을 드리고 철수 지시했다”라고 답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