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학교 복합문화공간’사업은 지난해 언론의 뜨거운 관심을 받았던 예술공감터 사업의 일환으로 학교 내 유휴교실을 소통과 문화예술 등 창의적인 복합공간의 모델을 제시하고자 추진됐다.
또 예술적 상상력을 자극할 수 있는 공간 재구조화 사업을 통해 학생의 창의성과 심미적 감성을 함양하는 혁신교육의 일환이기도 하다.
현재 미사중학교(하남)와 부용고등학교(의정부)의 복합문화공간은 기존 교실의 약 2배 규모로 콘서트나 전시 공간, 지역주민 참여 공간, 학생들의 소통을 위한 열린 공간으로 활발하게 이용돼 학생·교사·지역주민들의 긍정적인 호응을 얻고 있다.
2019년에 ‘학교 복합문화공간’으로 선정된 학교는 ▲신백현초(성남) ▲내기초(평택) ▲용인한일초(용인) ▲일죽초(안성) ▲김포초(김포) ▲내촌중(포천) ▲천마중(남양주) ▲안양중(안양) ▲중원고(부천) ▲저동고(고양)로 총 10곳이다.
김포초등학교는 복합문화공간을 지역사회 문화놀이인 ‘통진 두레놀이’를 배우고 발표할 수 있는 공간, 그리고 학부모와 지역주민의 예술공간으로 조성한다.
내촌중학교는 본관 1층 유휴교실 두 칸을 복합문화공간으로 꾸미고, 아침·점심·방과후 시간 등에 상시 개방해 학생들이 직접 ‘보고, 만들고, 듣고, 나누는’ 프로그램을 기획 운영한다.
용인한일초등학교는 교실 한 칸 반을 복합문화공간으로 꾸미고, 민속놀이 공간·지역주민 공간·학생들이 운영하는 꿈자랑 공간·장터 및 전시 공간 등으로 활용한다.
한편 학생들의 일상적 예술활동 기회를 확대하고, 학생이 기획하고 참여하는 전시터 및 공연터를 조성하는‘예술공감터’ 사업은 진난해 100교에 이어 올해는 200교로 확대했으며, 연말까지 총 300교로 늘어날 예정이다.
강원하 도교육청 융합교육정책과장은 “복합문화공간은 학교 내 학생들이 직접 운영하는 상상과 도전의 공간”이라며 “학생 스스로 마음껏 뛰어놀고, 꿈과 끼를 발휘하는 행복한 공간이 되도록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