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세계 라안일 기자] 상수도관, 정수장 등 상수도 시설의 노후화가 심각해 국민들이 안전하고 깨끗한 수돗물을 공급받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이석현 위원(새정치민주연합·안양동안갑)이 환경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국 약 18만km의 상수도관 중 20년 이상된 노후 상수도관은 5만 5312km로 전체의 30.6%에 달했다.
노후 상수도관으로 인한 피해도 컸다. 지난해 수도관 파손 등으로 인해 수돗물 공급이 중단되는 급수정지는 3314건 발생해 94만여 가구가 피해를 봤으며 올해에는 6월까지 1815건의 단수로 43만 5000여 가구가 피해를 겪었다.
노후 수도관으로 인한 물 낭비도 심각하다. 노후수도관의 누수율은 10.7%에 달했으며 지역별로는 전남과 세종의 누수율이 25.3%로 가장 높았고 전북 22.8%, 강원 21.3%로 뒤를 이었다.
정수장의 노후율은 더욱 심각해 전국 486곳 정수장 중 20년 이상된 노후정수장은 286곳으로 58.8%에 달했다.
그런데도 현재까지 상수도 관련 국비지원 실적은 ‘0’원이다. 주무부처인 환경부가 지속적으로 예산 요구를 했음에도 기획재정부의 반대로 정부예산안에 반영조차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내년 예산안에도 환경부가 요구한 상수도 관련 예산 134억원은 단 한푼도 반영되지 않았다.
이석현 위원은 “안전한 수돗물 공급은 국민 건강과 직결되는 문제임에도 정부는 상수도 업무가 지방사무라는 이유로 국비지원을 하지 않고 있다”며 “열악한 지방재정 여건을 고려할 때 노후 수도관 정비와 정수장 개량을 위한 국비예산 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