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료제 없어 개인위생이 최선의 예방법

[로컬세계 = 박세환 기자] 대구시는 9월 들어 영유아를 중심으로 수족구병 발생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며 가정과 보육시설에 예방수칙 준수를 당부했다고 2일 밝혔다.
수족구병은 제4급 법정감염병으로, 매주 표본감시 의료기관을 통해 발생 추이를 감시한다. 최근 의사환자 분율은 8월 3주 기준 26.7명으로, 6월 이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0~6세 영유아에서는 36.4명으로 더 높은 발생률을 보였다.
수족구병은 보통 5월부터 증가해 6~9월 사이 많이 발생하지만, 올해는 시작 시기가 늦어 7월에 들어서야 의사환자 분율이 10명을 넘어섰다. 이후 7월 4주에는 전주 대비 1.6배 급증했고,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여 9월에 최다 발생이 우려된다.
이 질환은 장바이러스(엔테로바이러스) 감염으로 발생하며, 환자의 대변이나 침·가래·콧물·수포 진물 등 분비물과의 접촉, 또는 오염된 장난감과 집기를 통해 전파된다. 손·발·입안 수포성 발진, 발열, 무력감, 식욕 감소, 설사·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대부분은 7~10일 내 회복되지만 드물게 뇌수막염, 뇌염, 마비 등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김신우 대구시 감염병관리지원단장은 “현재 수족구병은 백신과 치료제가 없어 개인위생 수칙 준수가 최선의 예방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김태운 대구시 보건복지국장은 “영유아 환자 발생률이 높은 만큼 가정과 보육시설은 철저한 위생 관리와 예방수칙을 지켜야 한다”며 “환자는 완전히 회복한 뒤 등원할 수 있도록 지도해 달라”고 당부했다.
로컬세계 / 박세환 기자 psh784@daum.net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