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듀오피부과 홍남수원장(전문의, 의학박사) |
사마귀 치료는 심한 통증을 수반하는 경우가 많아 아이들은 물론 어른들까지도 치료를 기피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바이러스로 발생하는 사마귀를 방치할 경우 주변으로 쉽게 전이될 수 있고, 나중에 치료할 경우 통증이 더 커질 수 밖에 없어 미리 치료를 하는 것이 더 큰 고통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이 된다.
인유두종(HPV) 바이러스가 원인인 사마귀는 면역력이 떨어지는 환절기에 자주 발생하고, 유아나 어린이의 경우 사마귀 발생률이 높아 보호자의 각별한 관심이 필요해 보인다. 아이들의 경우 사마귀가 생겼을 때 호기심으로 사마귀를 손톱으로 잡아 뜯거나 이빨로 물어 뜯는 경우가 많다. 이런 행동들은 손톱이나 입 주변 사마귀로 전이될 수 있고, 손톱 주위에 사마귀는 생길 경우 조갑 기질을 변형시켜 손톱의 기형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아이들이 사마귀 부위를 만지거나 물어 뜯는 행동을 하지 못하도록 주의를 줘야 한다.
이외에도 아이들에게 잘 발생하는 무사마귀(전염성 연속종)는 작은 쌀알 모양으로 은광택을 내고 있는 주머니 형태를 띄고 있고 그 안에는 바이러스 물질로 가득해 터트릴 경우 주변으로 빠르게 퍼져 치료가 힘들어질 수 있다. 무사마귀의 치료는 의료기구를 사용하여 주머니를 제거하고 소독을 하는 방법으로 치료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통증을 많이 느끼므로 퍼지기 전에 미리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어린이뿐 아니라 어른도 사마귀 발생시 주의해야 할 사항들이 있다. 손발바닥에 발생하는 사마귀를 티눈으로 오해하고 자가 치료를 하다가 사마귀가 더 커지고 번져서 병원에 내원하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다.
티눈은 피부의 잦은 마찰에 의해 발생하게 되고 중심에 핵이 있어 누르면 아픈 것이 특징으로 사마귀와는 다른 치료를 해야 좋아 질 수 있다. 문제는 사마귀를 티눈으로 오해하고 가정에서 티눈 치료제를 도포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사마귀는 주변으로 전이되거나 더 커질 수 있어 자가 치료 보다는 피부과에서 전문의 진료 후 올바른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손발바닥 사마귀는 냉동치료 또는 펄스 다이 레이저를 이용한 치료를 주로 하게 된다. 1회의 치료로는 완치가 어렵고 여러 차례 시술을 받아야 한다.
티눈과 비슷한 경우로 성인에게서도 쉽게 찾아 볼 수 있는 편평사마귀 또한 잡티나 여드름 등으로 오해하고 치료를 방치하거나 손으로 사마귀 부위를 자극해 주변으로 갑자기 전이된 상태로 병원을 찾는 경우가 많아 주의가 필요해 보인다.
편평사마귀는 주로 이마, 입가, 코 주변, 손등에 주로 발생하는데 면역력이 좋을 때는 자연적으로 소실되기도 하지만 대부분 주변으로 많이 전이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만약, 피부에 없던 색소들이 갑자기 많이 늘어 났다면 피부과 진료를 통해 확인을 해 보는 것이 좋다. 편평사마귀 치료는 일반적으로 탄산가스 레이저를 사용해 치료를 하게 된다. 이 때 수일간 세안과 화장을 할 수 없는 등의 일상생활에 불편함이 있을 수 있어 많은 수의 사마귀를 치료 하기 보다는 적은 수의 사마귀를 치료하는 것이 좋다.
듀오피부과 홍남수 원장은 "사마귀는 다른 피부 질환과 감별을 해서 치료를 해야 하기 때문에 피부과 전문의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방치할 경우 번지기 쉽고 치료를 받더라도 재발을 하기 쉽기 때문에 인내심을 가지고 꾸준하게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며 사마귀가 완치될 때까지 꾸준하게 여러 번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로컬세계 조원익 기자]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