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칠판 유치원 보급 부적절, AI 디지털교과서 보조 역할로 그쳐야
![]() |
▲ 전찬성 의원이 신경호 교육감에게 도정 질문을 하고 있다. |
[로컬세계 = 전경해 기자] 강원특별자치도의회 교육위원회 전찬성 의원(원주8)은 15일 열린 제332회 임시회 제3차 본회의 도정질문에서 교육감에게 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이하 도교육청) ‘정책협력관’의 독단적인 전자칠판 사업 진행과 그 과정에 생긴 의혹에 대한 책임 문제, 전자칠판의 유치원 보급의 부적절성, AI디지털교과서 도입의 신중한 검토를 주문했다.
전 의원은 “정책협력관은 전자칠판 사업과 관련하여 담당 부서에서 올린 검토 의견을 무시한 채, 이틀 만에 사업 변경(안)을 세웠다”며 “비합리적인 인증기준 제시로 인한 특정 기업 밀어주기 논란, 당초 논의되지 않았던 공ㆍ사립 유치원을 끼워 넣는 등 많은 ‘의혹’을 양산해 내고 있으나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고 있다. 이 사안에 대한 책임을 반드시 물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전 의원은 당초 사업계획 시 논의되지 않았던 전자칠판 사업 대상에 유치원이 갑자기 추가된 이유를 납득 할 수 없으며 신체와 뇌 발달이 중요한 유치원 시기에는 촉감놀이를 비롯해 체험과 놀이를 중심으로 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유치원에 전자칠판을 보급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주장했다.
전 의원은 AI 디지털 교과서 도입과 관련해 “요즘 학생들의 문해력이 점차 부족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AI 디지털교과서는 해법이 될 수 없다”며 “민간기업 밀어주기, 또 다른 사교육 시장 조성 등 여러 문제가 산재해 있는 가운데 AI 디지털교과서의 도입은 보조적으로 신중히 사용되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전 의원은 “전자칠판과 AI 디지털교과서의 도입은 시대적 요청이다. 그러나 교육에 있어서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본질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라며 “도교육청은 한정된 예산을 효율적이고 적정하게 사용해야 할 의무가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