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도내 유통상황은 닭고기, 오리고기는 종란생산 등 인프라 부족으로 자급율(닭고기 38%, 오리고기 12%)이 낮아 도외에서 반입되어 유통(생산)되는 실정으로 현재 평시 소비량에 큰 변화는 없으며 농가사육, 제고․반입량, 초생추 생산능력을 감안하여 2월말까지 공급물량을 확보 하고 있어 현재 도내 자체수급에 큰 문제나 혼선은 없는 실정이다.
제주도내 1일 계란 생산량은 27톤 45만개로서 “설” 성수기를 맞아 평시 소비량(1일/22톤)대비 2.5배(54톤/90만개) 소비량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타 시도로 반출되는 계란 18톤(30만개)을 “설” 명절기간에 도내에서 유통되도록 조치할 예정이다.
도는 도내 축산물(가금) 유통업체 공급과 제고물량 및 소비량 등 유통 상황을 지속적으로 점검하는 한편 타 시도 고병원성 AI 발생상황, 잠복기 및 반입물품(가금육, 종란, 초생추 등)에 대한 위험도 평가를 통해 제한적으로 반입금지 해제를 검토해 나감은 물론 공․항만을 통하여 타 시도에서 유입되는 가금산물에 대한 지도․감시를 강화해 나 갈 계획이다.
≪ 도내 연간 축산물(가금) 소비량 ≫
구분 | 1인당소비량 (kg) |
총소비량 (톤․100%) |
원산지별(톤) | |||||
도내산 | % | 타도산 | % | 수입산 | % | |||
닭고기 | 17.7 | 7,862 | 2,975 | 38 | 3,111 | 39 | 1,776 | 23 |
오리고기 | 3.3 | 2,217 | 262 | 12 | 1,955 | 88 | ||
계 란 | 12 | 8,064 | 6,022 | 75 | 2,042 | 25 |
※ 1일 소비량 : 닭고기 21.5톤, 오리고기 6톤, 계란 : 22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