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임덕 가속화…독선적 국정운영 변화 올까
![]() |
▲박근혜 대통령이 13일 서울 종로구 청운효자동 제1투표소에서 제20대 국회의원 총선거 투표를 하고 있다. 청와대 제공. |
[로컬세계 라안일 기자] 국민이 박근혜 정권을 심판했다. 박근혜 정부 출범 이후 재정적자가 1300억원을 넘고 공천과정에서 비민주적인 행태를 보이는 등 각종 실정이 이어지자 20대 총선에서 결단을 내린 것이다.
20대 총선 개표 결과 ‘여소야대’가 이뤄졌다. 새누리당은 참패했고 더불어민주당은 선전했으며 국민의당은 약진했다.
14일 새벽 4시 현재 당선이 확정됐거나 유력한 지역구는 ▲더민주당 110곳 ▲새누리당 104곳 ▲국민의당 26곳으로 집계됐다. 비례대표는 ▲새누리당 18석 ▲더민주당 13석 ▲국민의당 13석을 차지할 것으로 예측됐다.
예측대로라면 더민주는 새누리보다 1석 많은 123석을 확보해 원내 제1당이 된다. 특히 유승민 의원 등 탈당 후 여의도 복귀를 앞둔 여권 성향의 후보들을 합쳐도 새누리당은 과반을 차지하지 못하게 됐다.
이번 총선을 앞두고 정권심판론은 사실 힘을 잃은 것으로 보였다. 더민주 등 야당이 이명박 정부 당시에도 심판론을 주요 의제로 설정했지만 힘을 싣지 못했었다. 오히려 수년동안 심판론이 이어지자 일각에서는 피로도만 쌓여간다는 지적이 나왔다.
하지만 시민들은 불황이 지속되고 박근혜 정부의 실정이 계속되자 심판론에 힘을 실었다. 여기에 새누리당 공천과정에서 친박이 비박을 몰아세우는 모습을 보이자 국민들이 외면했다. 청와대발 공천학살은 새누리당 지지층의 분열을 이끌어내면서 불에 기름을 쏟은 꼴이 됐다.
이번 총선 결과로 박 대통령의 레임덕은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지지층의 이탈은 물론 총선에 선전한 야당의 포화가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이기 때문. 특히 독선적인 국정운영으로 여권내 반발도 많았던 만큼 여러 곳에서 잡음이 이어질 것으로 점쳐진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