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호처 “경호 목적상 확인해 줄 수 없어”
지난 3일 윤 대통령 체포를 막는 데 ‘33군사경찰대 병사들까지 동원’ 말썽
![]() |
▲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조만간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 집행에 나설 것으로 관측되는 가운데 4일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 출입문 주변에서 담에 설치하는 용도인 ‘원형 철조망’을 대규모로 옮기는 모습이 포착됐다. 체포영장 재집행을 앞두고 철옹성을 구축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KBS 뉴스 화면 캡처 |
[로컬세계 = 전상후 기자]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 담벼락 주변에서 ‘원형 철조망’을 설치하는 모습이 4일 포착됐다.
이날 오후 대통령 관저 출입구 부근에서 대량의 철조망을 관저 안으로 옮기거나, 철조망을 담벼락 주변에 설치하는 작업을 하는 모습이 관찰됐다.
설치한 이들은 경호처 직원들로 추정되며, 공조본 및 공수처가 조만간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 재집행을 하는 것에 대한 대비를 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따라 공조본은 영장 재집행 때 철구조물 절단기를 여러 대 추가로 준비할 것으로 예상돼 한층 치열한 양측의 공방전이 예상된다.
실제로 지난 3일 공수처는 “윤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을 집행하는 과정에서 경호처에 막혀 주변 산길로 우회해 접근했다”라는 내용을 발표한 바 있다.
공수처가 서울서부지법으로부터 발부받은 수색영장에는 야간 집행이 가능하다는 내용이 담겨 있어 이를 대비한다는 관측도 나온다.
이 외에 기존 시설 보수를 위한 것이라는 등 다양한 예상이 나오고 있는 상황 속 대통령 경호처는 “경호 목적상 확인이 불가하다”고 밝혔다.
지난 3일 오전 8시경 공수처는 윤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을 집행했으나 약 5시간 30분에 걸친 경호처와의 대치로 인한 안전사고 우려로 집행을 중단했다.
이후 공수처는 “피의자의 태도에 유감을 표한다”며 “법적으로 재집행이 가능하다”고 밝혀 5~6일 중으로 체포영장 재집행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4일 관저 인근에는 윤 대통령 체포를 두고 대규모 찬반 집회가 열렸다.
체포 반대, 찬성집회에는 각각 3만여명이 참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윤 대통령의 체포를 막는 데 수방사 소속 55경비단 외에도, 33군사경찰대 병사들까지 동원된 것으로 확인됐다. 의무복무를 하는 병사들이 의무에도 없는, 그것도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저지 임무에 투입된 것이어서 말썽이 일고 있다.
군 소식통은 “관저로 가는 길목의 1·2차 저지선에 수방사 예하 ‘33군사경찰경호대’의 병사들이 상당수 있었던 것이다“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