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처투자 비율도 2021년 1.6%에서 2024년 2.8%까지 증가
시, 2024년 전국최초 지역주도로 조성한 3000억원 규모 '미래성장 벤처펀드' 자펀드 결성 및 투자 올해 본격 추진하는 등 벤처투자 확대와 다각적인 지원 펼칠 예정
[로컬세계 부산 = 전상후 기자] 부산시는 지난해(2024년) 지역 벤처투자 실적이 1842억원을 달성했으며, 벤처투자 비율도 지속 증가하고 있다고 15일 밝혔다.
지역별 벤처투자 비율은 박형준 시장 임기 초기인 2021년 1.6% 수준에서 2024년 2.8%까지 증가했다.
지역 벤처투자사(VC)도 지사를 포함해 2021년 기준 11개 사에서 19개 사로, 창업기획자(AC)는 15개 사에서 무려 28개 사로 늘었다.
시는 지난해 전국최초 지역 주도로 조성한 모펀드인 '미래성장 벤처펀드'의 자펀드를 3000억원 규모로 결성해 올해 본격적으로 투자에 나서는 등 지역의 혁신적인 기업들이 지속 성장할 수 있도록 벤처투자 확대와 다각적인 지원을 펼칠 예정이다.
특히 지난 2월 중소벤처기업부에서 공모한 '지방시대 벤처펀드'도 시가 우선 협상 지자체로 선정돼 본격적으로 '(가칭)부산 혁신 스케일업 펀드'를 조성하며, 2000억원 상당의 자펀드를 연내 결성할 계획이다.
시는 미래 신산업을 육성하고, 주력 산업을 고도화하며, 글로벌 도시 기반시설 구축을 위한 ‘부산시 9대 전략산업’을 이끌어가는 초기, 성장단계 창업·벤처 기업과 스마트 첨단제조 기업, 기업가형 소상공인(라이콘)을 주목적 투자 대상으로 지정해 추진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시는 올해 조성하는 모태 기반 초기 창업분야 펀드 조성을 위해 20억원을 편성, 당초 결성총액의 10%였던 시 출자금액을 최대 20%로 확대했다.
지난해 지역 창업생태계 관계자 간담회 때 지역 투자사들의 주요 제안사항 중 하나였던 시의 기관 출자자(LP) 참여 확대 요청을 적극 반영했다.
또 지역 대학의 인적자원과 기술을 바탕으로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대학 기술 사업화 펀드' 조성에도 출자금 10억 원을 배정해, 대학 기술 창업을 지원할 방침이다.
이로써 지역 벤처투자 비율은 3퍼센트(%)대 수준까지 올라갈 것으로 기대되며, 시는 오는 2030년까지 추가로 8000억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해, 총 2조원까지 투자함으로써 지역 벤처투자 비율을 4%대까지 증가시킬 예정이다.
박형준 시장은 “부산시는 올해 설립된 부산기술창업투자원을 중심으로 지역투자 활성화와 적극적인 투자 생태계 조성, 지속 가능한 혁신을 추진하고자 한다”며 “지역 최초로 거대 신생기업(유니콘 기업)이 탄생할 수 있도록 기술 창업기업 발굴·보육·투자·기반 시설(인프라)까지 적극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