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도구] 빈집 매입을 통한 임대사업(외국인 유학생 기숙사) ▲[동구] 빈집 철거를 통한 소규모 체육공원 조성
시, 매도 의사가 있는 빈집에 대한 수요를 지속해서 파악하고, 향후 사업비를 추가로 확보해 미래세대를 위한 빈집 혁신의 출발점으로 삼을 방침

[로컬세계 = 맹화찬 기자] 부산시는 지난 15일, ‘빈집 매입 및 생활 사회기반시설(SOC) 조성사업’의 대상지 4곳을 최종 선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선정은 빈집 전문가로 구성된 민관협의체의 평가를 거쳐 이뤄졌으며, 영도구와 동구가 사업지로 확정됐다.
이번 사업은 지난 3월, 시가 16개 구·군을 대상으로 공모를 진행해 7개 구에서 접수된 10곳 중 최종 4개소를 선정한 것이다. 사업은 지난해 11월 발표한 ‘빈집정비 혁신 대책’의 실행 계획 일환으로, 기반시설이 부족한 지역의 빈집을 매입해 주민 생활에 필요한 SOC로 전환해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삶의 질을 높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번에 선정된 사업은 크게 두 가지 유형이다.
첫째, 영도구 동삼동과 청학동 빈집 2채를 활용해 외국인 유학생용 임대기숙사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이 사업은 부산시와 영도구, 한국해양대학교가 협력해 후보지를 발굴하고 추진 중으로, 국제학생 수요를 반영한 맞춤형 주거공간 공급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둘째, 동구 수정동의 빈집 2채를 철거하고 소규모 체육공원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해당 지역은 오래된 건축물의 붕괴 위험과 범죄 우려가 높았던 곳으로, 이번 사업을 통해 주민들이 안전하고 건강하게 이용할 수 있는 생활 밀착형 공간으로 탈바꿈할 전망이다.
이번 평가를 진행한 ‘빈집 정비를 위한 민관협의체’는 지난 2월, 관련 학식과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 9인으로 구성됐다.
우신구 부산시 총괄건축가가 위원장을 맡았으며, 이섬결 한국부동산원 과장, 신병윤 동의대학교 교수 등이 참여했다.
협의체는 향후 빈집 정비정책 제안과 사업 발굴, 평가 등을 전담하게 된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이번 사업은 시 최초로 빈집을 공유재산화해 기반시설을 조성하는 사례로, 단순한 매입을 넘어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주거환경 개선의 선도모델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매도 의사가 있는 빈집 수요를 지속적으로 파악하고, 관련 예산을 추가 확보해 미래세대를 위한 빈집 혁신 정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