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컬세계 = 맹화찬 기자] 박수영 국민의힘 의원(부산 남구·기획재정위원회 간사)이 21일 조달청 자료를 분석한 결과, 산불 진화 등에 투입되는 헬기 88대 중 59대(약 67%)가 기령 30년 이상의 노후 헬기로 나타났다.
특히 40년 이상 기체가 28대, 50년 이상 9대, 60년 이상 3대에 달하는 등 장기간 운용된 헬기가 상당수 포함됐다. 산불 헬기 관련 사고는 2021년부터 올해까지 총 5건 발생해 9명이 사망하고 1명이 부상했으며, 사고 원인 상당 부분이 노후 헬기 기령과 관련된 것으로 분석된다.
조달청은 ‘나라장터’를 통해 헬기를 임차하며, ‘다수공급자계약제도’를 통해 업체를 선정한다. 이 제도는 공급업체가 헬기를 제공하면 조달청이 가격 자료를 수집하고 협상 기준 가격 이하에서 낙찰하는 방식으로, 업체 입장에서는 단가를 낮출 수밖에 없는 구조다.
헬기 업계 관계자는 “운행 시 조종사 2명이 필요하지만 현행 단가로는 조종사 1명 인건비조차 충당하기 어렵다”며 “수입 부품과 치솟는 유류비 부담으로 수리비 확보조차 어렵고, 적자가 지속돼 운행 포기까지 고려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조달청은 2020년 단가 인상 요청을 반영해 평균 단가를 3% 올렸으며, 2022년에는 유가 상승분을 단가에 반영했으나 1년 만에 종료됐다.
박수영 의원은 “노후 헬기를 계속 사용할 수밖에 없는 구조가 고착화되면서 국민의 생명과 안전이 위협받고 있다”며 “조달청은 헬기 단가 산정 시 감항검사 등 안전성 평가 요소를 반영하고, 기령에 따라 차등적인 가격 결정 구조를 마련해야 한다. 새 헬기는 단가를 현실화하고, 노후 헬기는 현행 수준을 유지하는 합리적 체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로컬세계 / 맹화찬 기자 a5962023@naver.com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