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 베이비부머 7332명…2년(2015년) 전 비해 33.1% 증가
▲대전시청 전경.(로컬세계DB) |
26일 시가 발표한 ‘2017년 베이비부머 통계’에 따르면 올해 5월말 기준 전국 베이비부머는 727만6533명이며, 경기도가 167만6395명으로 가장 많고, 서울 137만5287명, 부산 56만1446명 순이며, 대전시는 전국의 13위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남자는 10만1480명, 여자는 10만3101명으로 여자가 1621명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출생연도별로는 1961년생이 12.9%(2만6491명)로 가장 많고, 1955년생이 9.6%(1만9574명)로 가장 적게 나타났다. 2년 전(2015년)에 비해 1963년생이 13.8%로 가장 많이 감소했으며, 1960년생은 6.9%로 가장 많이 증가했다.
![]() |
![]() |
주택연금에 가입한 대전시 인구는 927명이며, 이중 베이비부머는 20명으로 나타났다.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 베이비부머는 7332명으로 베이비부머 인구의 3.6% 차지했으며, 수급종류별로는 의료급여가 34.9%로 가장 많고, 주거급여 33.1%, 생겨급여 30.4% 순으로 나타났다. 또 장애인은 1만4654명으로 전체 장애인의 20.5%로 확인됐다.
![]() |
국민건강보험에 가입한 베이비부머는 19만9497명으로 가입률은 13.6%로 나타났으며, 1인당 월평균 건강보험 진료비는 13만3000원으로, 1955년생이 16만4000원으로 가장 많이 지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 |
베이비부머 근로소득자는 9만6137명으로 전체 베이비부머(20만4581명)의 47.0%의 비중을 보였다. 성별 비중은 남자는 60.1%, 여자는 34.1%로 남자가 여자보다 26.0%p 높게 나타났다.
이 가운데 상시종사자가 6만9093명(71.9%)으로 가장 많고, 임시 및 일용근로자 2만90명(21.9%), 자영업자 5954명(6.2%) 순이었다.
![]() |
성별은 남자가 62.4%로 여자 37.6%보다 24.8%p 더 많이 일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실 사유는 개인사정이 44.7%로 가장 많고, 계약만료 25.9%, 인원감축 13.5%순으로 많은 비중을 보였고, 남자는 정년, 계약만료가 많고, 여자는 개인사정, 인원감축 사유가 많았다.
![]() |
![]() |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