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산경찰청사 전경. |
[로컬세계 부산=맹화찬 기자]부산시자치경찰위원회(위원장 정용환·이하 위원회)는 2024년을 '더 안전한 부산 만들기 실현'의 해로 정하고, 피부에 와닿는 치안 정책 추진을 통해 시민의 평온한 일상을 지키는 부산형 자치경찰제를 정착시키겠다고 18일 밝혔다.
위원회는 지난해, 기존 추진 정책의 효과 점검과 다양한 치안 활동을 통해 실질적인 자치경찰제의 토대를 마련했다.
치안 사업 예산을 확충하고 부산시·부산경찰청·부산교육등 유관기관과 긴밀한 협업을 바탕으로 더욱 두터운 치안 안전망을 조성했다.
또한 ▲전국 유일 주취자 공공구호시설인 ‘부산광역시 주취해소센터’를 개소하고 ▲‘정신응급 합동대응센터’를 운영 ▲주취자와 정신질환자에 대한 보호조치 체계를 고도화하는 한편, ▲16개 구·군에 ‘자치경찰사무 지원 조례’를 제정해 광역단위 자치경찰제의 한계를 극복하고 자치행정과 치안행정 간 융합을 강화했다.
위원회는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2024년은 '시민과 함께하는 자치경찰, 더 안전하고 행복한 부산'을 비전으로 삼고, 시민참여와 시민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사회적 약자를 보호하는 촘촘한 사회안전망을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
특히, 사회적 약자를 대상으로 하는 관계성 범죄에 대해 엄정하게 대응하는 한편, 피해자를 보호·지원하고 실질적인 해결방안을 찾는 데 집중해 ▲가정폭력 재발방지 ‘행복한가(家) 희망드림 프로젝트’ 확대 운영 ▲스토킹 등 고위험 범죄피해 민간경호지원 서비스 사업 ▲아동안전지킴이사업 ▲성범죄·학대예방 프로그램 등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정용환 부산시자치경찰위원장은 “올해 더욱 촘촘한 안전망을 구축해 시민의 생활 속에서 민생현안까지 속속들이 챙기는 부산자치경찰이 되겠다”라며, “또한, 생활안전·사회적약자 안전·교통안전 체감도를 높여 자치경찰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시민 스스로 체감할 수 있도록 우리 위원회는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의지를 말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