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세계 김장수 기자] 인천시가 공동주택 관리지원센터 설치 필요성 등에 대한 연구용역을 추진한다.
시는 ‘공동주택 관리지원센터 설치에 관한 연구용역’이 인천발전연구원 2016년 정책 연구과제로 선정됨에 따라 조직체계 구성 방안 등을 적극 검토할 계획이다.
시민들의 주거 비율 중 공동주택은 77%를 차지해 그 어느 때보다 공동체 생활중심의 맞춤형 주거지원을 위한 공동주택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시는 현재 1개팀 4명의 조직만으로는 공동주택 관리 지원업무를 적극적으로 펼치는데 한계가 있었다. 반면 국토교통부, 서울시, 경기도 등 중앙부처 및 타 시·도는 이미 전문인력 및 공무원 등 9~17명으로 조직을 구성해 공동주택관리지원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국토부는 ‘공동주택관리법’을 제정해 공동주택관리지원기구를 설치 수행할 수 있도록 명문화했으며 시도 ‘공동주택 지원 기본조례’에 입주자의 주거안정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공동주택 관리지원센터 설치 근거를 마련했다.
시 관계자는 “이번 연구용역을 통해 앞으로 공동주택 관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 보다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최적의 조직체계 구성으로 맞춤형 주거복지 실현의 틀이 마련될 수 있도록 용역 수행에 적극 협조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