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들이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정부의 실질적인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있는 가운데 지나가던 시민들이 피해사진을 바라보고 있다. 라안일 기자. |
[로컬세계 라안일 기자]정부가 생활화학제품에 함유된 살생물질의 안전성을 검증한다.
환경부 화학물질정책과 홍정섭 과장은 24일 정부세종청사 환경부 기자실에서 브리핑을 열고 생활화학제품 살생물질의 사용실태 전수조사와 안전성 검증에 나선다고 밝혔다.
환경부는 생활 속에 밀접하게 사용되면서도 위해우려가 높은 제품을 우선 조사할 예정이며 상반기에 15종의 위해우려제품을 제조·수입하는 8000여개 기업에게 제품 내 함유된 살생물질 종류 등을 제출받을 계획이다.
제출된 살생물질을 목록화하고 여러 제품에 사용되거나 위해우려가 높은 물질은 시급성에 따라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하반기부터라도 단계적으로 위해성 평가를 추진한다.
이와 병행해 위해성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스프레이형 방향제, 탈취제 등의 위해우려제품에 대해서 주요 제조·수입기업과 안전관리 협약을 체결하여 하반기 중 유·위해성 자료를 제출받아 위해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공개할 방침이다.
환경부는 내년부터 위해우려제품으로 관리되지 않는 생활화학제품, 살생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공산품과 전기용품, 사업장에서 이용되는 살생물제품으로 조사를 확대한다.
이와 병행해 조사결과에 따라 제품의 사용빈도나 노출경로 등을 고려하여 단계적으로 위해성 평가를 할 계획이다.
아울러 살생물질 전수조사는 내년말까지 완료할 예정으로 조사과정에서 중대한 위해성이 의심되는 경우 위해성 평가를 병행해 위해우려제품에 포함하거나 안전관리기준을 설정해 국민 우려를 해소하겠다는 입장이다.
홍정섭 화학물질정책과장은 “올해 내에 위해 우려가 높은 생활화학제품에 대해서는 조사와 평가를 병행해 제품 내 함유된 살생물질 관리를 강화할 예정”이라며 “내년에는 위해우려제품으로 지정되지 않은 비관리제품, 살생물질이 함유된 공산품까지 조사를 확대해서 국민이 안심하고 살생물질이 함유된 제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