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세계 라안일 기자]전국 지자체들이 신청사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서울 등 대도시는 물론 충남 예산군을 포함한 기초 지자체들도 낡고 오래된 청사 건물을 새롭게 지어 직원의 업무능률을 높이고 주민 서비스를 개선하겠다는 명분을 내세워 신청사 건립에 나섰다. 하지만 재정자립도가 12.3%에 불과한 충남 예산을 비롯해 재정난에 시달리는 지자체들이 수백억원에서 수천억원을 투입해 청사 건립을 추진해 논란이 일고 있다.
우선 서울시는 572억원을 들여 서소문청사 옆 부지에 지하 3층, 지상 7층짜리 별관 청사를 신축하기로 했다. 별관 신축계획은 행정자치부의 재무타당성 심사를 통과했으며 시의회 승인을 앞두고 있다. 시는 내년 착공해 2019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서울시는 별관 신청사가 완공되면 민간 건물에 입주한 부서를 입주시킬 계획이다. 현재 본청 직원 4900명 중 절반 이상의 직원들이 민간 건물을 빌려 사용하고 있다. 민간 건물 임차료가 연간 81억원에 달해 7년이면 공사비를 회수할 수 있다는 게 서울시의 입장이다.
![]() |
▲서울 동작구청 전경. 동작구는 노후화된 구청사를 판 돈으로 사업비를 충당해 ‘장승배기 종합행정타운’을 조성할 계획이다. |
서울시 각 자치구들도 신청사 계획을 발표했다. 동작구는 오는 2021년 완공을 목표로 총 사업비 2043억 3600만원을 들여 장승배기 영도시장 일대에 총면적 2만 6641m²의 행정타운 건립을 추진 중이다. ‘장승배기 종합행정타운 조성계획’이 서울시 투자심사를 통과했다. 동작구는 현 청사를 매각한 돈으로 사업비를 충당할 계획이다.
종로구, 광진구, 서초구 등도 청사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심각한 재정난에 공무원 월급 등 4400억원을 은행에 차압당했던 인천시도 신청사를 조성할 계획이다. 현 청사가 낡고 비좁아 시민 서비스의 질을 높이려면 새 청사가 필요하다는 게 입장이다. 남동구 구월동에 약 4000억원을 들여 신청사를 짓겠다는 것. 하지만 총 부채가 11조원에 달하는 인천시가 수천억원을 들여 신청사를 조성하겠다는 입장에 시민들의 반응은 냉랭하다.
재정자립도가 12.3%에 불과한 충남 예산군도 총 583억원을 들여 지하1층 지상8층 규모의 신청사를 짓고 있다.
지난해 10월 착공했으며 내년 12월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7월 현재 20%의 공정률을 보이고 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