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2개월 위판량 9,343t…10년 평균보다 2,500여t 더 잡혀
kg당 산지 가격 20% 감소…수협쇼핑, 최대 34% 할인 기획전
올해 가을철 꽃게 위판량이 전년보다 약 2배 증가하며 역대 최대 수준을 기록했다. 이에 따라 산지 가격은 전년보다 약 20% 낮아졌으며, 수협중앙회는 할인 기획전을 통해 소비자에게 혜택을 제공한다.
28일 수협중앙회(회장 노동진)에 따르면, 꽃게 금어기 해제(8월 21일) 이후 두 달간 전국 회원조합의 위판량은 9,343t으로, 전년동기(4,990t) 대비 87% 증가했다. 최근 10년 평균(6,777t)보다도 2,566t 많은 수치로, 2016년 이후 가장 많이 잡힌 2023년(9,411t)과 비슷한 수준이다.
국립수산과학원은 올해 꽃게 어장의 밀집으로 조업 효율이 높아지면서 어획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다. 반면 지난해에는 이례적인 고수온으로 어장이 넓게 분산돼 어획량이 감소했었다.
고수온 등 기후변화가 어획량에 큰 변수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지역별로는 경인권이 3,727t으로 전체의 40%를 차지했으며, 충남(2,653t)과 전남(1,413t)이 뒤를 이었다. 특히 충남은 전년 대비 1,456t이 늘어나 증가 폭이 가장 컸다.
이러한 어획량 증대로 kg당 산지 평균 가격은 6,993원으로 전년보다 1,580원 낮아졌고, 10년 평균 가격(9,041원)보다 약 2,000원 저렴하게 거래되고 있다.
수협중앙회는 가을 꽃게 생산 시기가 끝나기 전인 11월 2일까지 할인 기획전을 운영하며, 수협쇼핑몰에서 활꽃게 최대 34% 할인과 함께 새우, 홍가리비 등 가을 제철 수산물도 저렴하게 판매한다.
노동진 회장은 “기후변화에 따른 어획량 변동성은 앞으로도 지속될 수 있다”며 “어가 경영 안정과 소비자 혜택을 위해 다양한 지원과 할인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로컬세계 / 지차수 기자 chasoo9@naver.com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