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신당 겨냥 지역불모 구태정치 쇄신해야
![]() |
문재인 대표는 박근혜 정권의 불평등 경제에 맞서 국민의 삶을 지키는 데 동의하는 야권세력이라면 함께 힘을 모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 대표는 “그동안 비공식적인 협의를 이어왔던 천정배 의원이 이끄는 국민회의와 정의당과는 비공식적인 협의를 이어왔지만 결실을 맺지 못했다”며 “이제 시간이 얼마 없는 만큼 (야권연대에 대한)공개적이고 공식적인 논의로 전환할 것”을 제안했다.
문 대표는 박근혜 정부 출범 3년 만에 대한민국이 총체적 위기에 빠졌다고 진단했다. 경제와 민생이 파타난 것은 물론 민주주의와 남북관계는 후퇴했다고 피력했다. 그럼에도 대통령은 경제실패와 민생파탄에 대한 반성이나 책임 없이 여전히 남 탓과 국회를 겁박만 한다고 지적했다. 무너진 대한민국을 제자리에 놓기 위해서는 총선에서의 심판이 필요하다는 입장도 덧붙였다.
그는 “대한민국을 바꿀 유일한 방법은 이번 총선에서 의회권력을 바꾸는 것이다. 그것이 시작이다. 그 힘으로 2017년 정권교체까지 이뤄야 한다”며 “새누리당 정권 8년 동안 파괴된 민주주의를 복원하는 일, 다양한 역사교육을 복원하는 일, 일본군 ‘위안부’ 협상을 원점으로 돌려놓는 일, 모두 우리당의 총선 승리를 통해 시작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 대표는 자신의 거취에 대한 입장도 확실히 했다. 당 선대위가 구성되고 안정되는 데로 빠른 시간안에 당 대표직에서 물러나겠다는 입장이다.
그는 “제가 그 동안 지키고자 했던 것은 대표직이 아니라 원칙과 약속이었다. 저는 온갖 흔들기 속에서도 혁신의 원칙을 지켰고 혁신을 이뤘다”며 “계파공천과 밀실 공천이 불가능한 공정한 공천 절차를 마련했고 공천권을 국민에게 돌려드렸다. 인재영입을 통한 변화의 큰 물결도 시작됐다. 못한 것은 통합인데 통합에 물꼬를 틔우기 위해 제가 비켜서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안철수 의원을 비롯해 탈당 의원들에 대한 비판도 이어갔다. 문 대표는 “정치의 기본은 대의명분이라고 믿는다. 그런데 우리 정치에 대의명분이 사라졌다. 최근의 야권분열은 그 어떤 명분도 없다”며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라 이합집산하는 기득권 정치로는 국민의 삶을 변화시킬 수 없다. 지역을 볼모로 하는 구태 정치가 새로운 정치일 수 없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