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 어디서나 가능해진 행정서비스‘모바일 스마트 행정포털’운영
‘2026~2030 정보화 기본계획’ 수립…AI 시대에 발맞춘 정보화 청사진 마련

[로컬세계 = 임종환 기자] 경기 고양시가 시민 중심 디지털 행정 혁신을 본격화한다. 시는 AI와 첨단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해 행정 효율성과 시민 체감 만족도를 동시에 높이기 위해 ‘스마트 레터링서비스’와 ‘모바일 스마트 행정포털’을 도입하고, 내년 1월 정식 운영에 들어간다. 아울러 2026~2030 정보화 기본계획을 수립해 미래 행정 청사진을 마련하고, 디지털 전환을 통한 스마트 도시 실현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
스마트 레터링서비스로 행정전화 신뢰와 응답률 향상
고양시는 보이스피싱 피해 확산에 대응하고 시민과의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스마트 레터링서비스’를 도입한다. 11월까지 4천여 대 행정전화에 자동 안내·홍보 기능을 적용하고, 2026년 1월부터 전면 운영될 예정이다. 발신 기관명·부서명·안내 문구 등을 스마트폰 화면에 표시해 전화 신뢰성과 응답률을 높이며, 통화 종료 후에는 카드뉴스, 유튜브 영상, 정책 링크 등을 노출해 자연스러운 시정 홍보 효과도 기대된다.
모바일 스마트 행정포털로 언제 어디서나 업무 가능
내년 1월 개통 예정인 ‘모바일 스마트 행정포털’은 기존 데스크톱 기반 행정 시스템의 한계를 보완,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실시간 업무가 가능하도록 설계됐다. 주요 기능으로는 ▲게시판 실시간 열람 ▲공지사항 푸시 알림 ▲AI 음성인식 기반 원터치 전화 ▲그룹별 비상 연락망 설정 등이며, 화면 캡처 방지, 첨부문서 다운로드 제한 등 보안 기능도 강화됐다.
2026~2030 정보화 기본계획 수립… AI 시대 미래 행정 설계
고양시는 AI, 빅데이터, 클라우드 등 첨단 ICT를 활용한 디지털 전환 목표로 2026~2030 정보화 기본계획을 수립 중이다. ‘시민과 함께 성장하는 디지털 도시 고양’을 비전으로, 데이터 기반 지능형 행정, 시민 체감형 서비스, 지속 가능한 디지털 인프라 구축, 도시 경쟁력 강화 등을 4대 전략으로 추진한다.
이동환 고양시장은 “디지털 행정 환경 구축은 행정 효율성과 시민 만족도를 동시에 높일 핵심 과제”라며 “행정 내·외부의 정보 접근성과 소통을 혁신해 고양시를 선도형 스마트 도시로 도약시키겠다”고 강조했다.
로컬세계 / 임종환 기자 lim4600@naver.com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