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환경·경제 전 분야 지표 구체화

[로컬세계 = 김영호 기자]경기 광명시는 기본사회, 저탄소, 지역공동체 자산화를 핵심 가치로 반영한 지속가능발전 계획을 수립하고 본격 추진에 나선다고 9일 밝혔다.
시는 2025년부터 2029년까지 5년간 추진할 ‘제2차 지속가능발전 기본전략 및 추진계획’을 확정했다. 이번 계획에는 △복지 △교육문화 △교통·주거·안전 △기후적응 및 그린인프라 △기업과 지역경제 △주민자치와 민관협치 등 17대 목표 달성을 위한 세부목표 33개, 본지표 48개, 보조지표 16개가 담겼다.
지자체는 지속가능발전 기본법에 따라 국제연합(UN)이 채택한 17대 지속가능발전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경제·사회·환경 분야의 기본 전략과 추진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특히 이번 계획에는 광명시가 추진하는 기본사회, 저탄소, 지역공동체 자산화와 연계된 신규 지표 20개가 개발·반영돼 전략성이 강화됐다.
사회 분야에서는 기본소득 수혜율, 공공급식 이용률 등 시민의 기본적 삶을 보장하는 정책의 실효성을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어르신 돌봄 이용률, 장애인 고용률, 자원봉사 참여율 등 포용사회 지표를 새롭게 도입했다.
환경 분야에서는 탄소중립 시민실천 활동 지표를 통해 지난 5년간 축적된 시민 학습력이 실천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점검하고, 제로에너지건축물 보급률 지표를 신설해 녹색인프라 성과를 함께 관리할 계획이다.
경제 분야에서는 지역공동체 자산화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전략을 접목해 중소기업 ESG 참여율, 공공기관의 지역기업 제품·서비스 구매율, 민관협력사업 건수 등의 지표를 신설했다.
또 1차 계획 추진 과정에서 전략적 타당성이 입증된 지표는 유지하고, 중복되거나 실효성이 낮은 지표는 통합·정비했다. 본지표를 보완하는 보조지표 16개도 함께 도입됐다.
한편 제1차 광명시 지속가능발전 기본전략 및 추진계획의 17개 목표 평균 달성률은 104%로, 모든 목표가 80% 이상을 기록했다. 이 가운데 복지, 주거교통, 지역경제, 학습문화 등 8개 목표는 100%를 넘는 성과를 거뒀다.
로컬세계 / 김영호 기자 bkkm9999@gmail.com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