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로컬세계 맹화찬 기자]부산 금정소방서(서장 김우영)는 무심코 버린 담배꽁초에 의한 화재가 지속적으로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건조한 겨울철의 경우 화재발생 가능성이 더욱 높아져 시민들에게 담배꽁초로 인한 화재의 위험성을 알리고 예방하기 위해 화재재현실험을 실시했다고 26일 밝혔다.
2016년~2020년 11월 말까지 최근 약 5년간 전국에서 발생한 담뱃불 화재는 3만여 건으로 부주의로 인한 화재 중 29%에 달하는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그만큼 피해 규모도 커서 65명의 사망자와 584명의 부상자가 발생했고, 재산피해도 1000억원에 육박하는 등 큰 피해가 발생했다.
담배가 타고 있을 때는 약 800℃나 되는 열을 지니고 있으며, 담배 1개비가 완전히 타는 시간은 약 15분이 소요되는데, 아무리 짧은 담배꽁초라 하더라도 주변에 가연물이 있고, 축열과 산소 공급이 잘 되는 환경에서는 장시간 불씨가 지속될 수 있기 때문에 어느 한 순간 큰 불길로 커질 수 있게 된다.
이번 실험에서도 낙엽과 종이 등 가연물이 많이 쌓여 있어 축열이 잘 되는 환경에서 산소 공급까지 잘 이루어질 경우 화재로 쉽게 이어질 수 있음을 다시 한번 확인 했다.
특히, 이번 실험과 같은 환경은 건조하고 바람이 많이 부는 겨울철에 쉽게 만들어지는데 바싹 말려진 낙엽이나 종이 등이 쌓여있는 곳에 작은 불씨만 있으면 쉽게 불이 붙게 된다.
김우영 금정소방서장은 “작은 담배꽁초라 하더라도 무심코 아무데나 버린 불씨가 대형화재로 이어질 수 있음에 유의하고, 흡연은 지정된 장소에서 해야 하며, 담배를 피운 후 꽁초는 반드시 재떨이에 버리고 완전히 꺼졌는지 확인하여 화재를 예방하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