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황 권한대행은 27일 총리 공보실장을 통해 발표한 성명에서 “고심 끝에 지금은 특검을 연장하지 않고, 검찰에서 특검에 이어 수사를 계속하도록 하는 것이 국정안정을 위해서도 바람직하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이어 “최순실 등 특검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주요 사건들의 핵심 당사자와 주요 관련자들에 대해 이미 기소했거나 기소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수준으로 수사가 진행돼 특검법의 주요 목적과 취지는 달성됐다”고 했다.
황 권한대행은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 결정에 따라 조기 대통령 선거 시행시 특검 수사가 선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 등을 감안했다고 덧붙였다.
황 권한대행의 불허로 특검의 공식활동은 오는 28일 종료된다.
야권은 일제히 반발했다.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황교안 권한대행이 결국 특검연장을 거부했다. 국정농단 세력 처벌과 적폐 청산의 염원을 외면한 헌정사 최악의 결정”이라며 “우리당은 새로운 특검법 발의를 비롯해서 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동원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박지원 국민의당 대표는 “황교안 대행은 역사의 죄인으로 기록될 것”이라며 “국정농단 5인방 박근혜, 최순실, 황교안, 그리고 박근혜 대통령 측 변호인, 인명진, 이 다섯 분으로 기록 될 것”이라고 꼬집었다.
오신환 바른정당 대변인은 “이번 결정이 황 권한대행 본인의 대선 야욕을 위한 사전 포석이라면 국민은 결코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며 “이 점을 황 권한대행이 똑똑히 새겨 듣기 바란다”고 경고했다.
심상정 정의당 대표는 “황 대행의 특검연장 거부는 특검의 강제해산”이라며 "박 대통령을 향한 특검의 수사를 막고 비호하겠다는 사법방해이고 국민에 대한 명백한 배신”이라고 성토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