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세계 맹화찬 기자]부산교통공사가 악화된 재정여건을 극복하기 위해 4호선 아웃소싱과 본부 조직 축소, 일상근무 확대 등을 골자로 하는 혁신대책을 추진한다.
부산교통공사는 19일 부산지방경찰청 기자실에서 설명회를 갖고 이같은 내용을 포함한 강력한 혁신대책을 발표했다.
공사가 혁신대책 추진에 나선 것은 공사를 재창조하는 수준의 강력한 자구노력으로 악화된 재정여건을 극복하기 위한 것.
공사는 현재 연 2200여억원의 운영적자를 보고 있어 자체 수입으로 인건비도 충당하기 불가능한 실정인데 반해 1인당 인건비(연 7100만원)는 동종기관 평균임금(연 5900만원) 보다 무려 1200만원이나 높아 경영이 최악으로 치닫고 있다고 판단했다.
특히 통상임금 미해결로 매년 인건비가 450억원 증가할 경우 조만간 운영적자가 3000억원대에 달할 것으로 예상돼 공사 존립자체가 위태로울 수 있다는 절박감도 작용했다.
공사는 연간 4백억원 절감을 목표로 ▲ 조직·인력구조 개선 ▲ 근무형태 개선 ▲ 운영시스템 개선 등 3대 분야 22개 과제를 자구책으로 선정했다.
먼저 조직·인력구조 개선을 위해 ▲4호선 아웃소싱 ▲3호선 역사관리 아웃소싱 ▲전자분야 아웃소싱 등 소규모 업무중심의 아웃소싱에서 분야별·호선별 전면 아웃소싱으로 확대한다.
본사·현업의 인력 효율화에 따른 조직의 합리적 조정을 위해 ▲1본부 4처(소) 축소 ▲1·2호선 관리역제 ▲비핵심분야 기간제 근로자 활용 등 조직 슬림화에 나선다.
또 근무형태 개선을 위해 교대근무자 일부(통신·신호·차량·토목분야)를 일상근무로 전환하고 일부는 일상근무와 야간격일제(궤도분야)로 전환한다. 이와 함께 주간 1일의 지정휴무일을 추가해 초과근로를 억제한다는 것이다.
운영시스템 개선책으로 1~3호선 무인경비시스템 구축에 따른 역사 당직 제도를 폐지하는 한편 3호선 무인운전 시행도 적극 검토키로 했다.
부산교통공사 박종흠 사장은 “공사는 향후 5년간 514명의 자연감소 요인이 발생함에 따라 인위적인 구조조정없이 저비용 고효율 조직으로 재편할 수 있는 최적기에 있다”며 “공사가 앞으로 나가느냐, 제자리에 주저앉느냐 하는 절체절명의 변곡점에 놓여있어 재창조 프로젝트를 통해 지속가능한 발전의 초석을 마련하는 기회로 삼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