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부산지방경찰청 전경. |
전년 동기간 대비 발생건수는 10.5%, 피해금액은 32.7% 증가했다.
유형별로는 90%(477건)이 대출사기형이며 그중 98.7%(472건)가 계좌이체로 이루어졌다 사칭형태로는 시중은행(51.5%), 캐피탈(22.3%) 등 순으로 사칭이 많았고, 저금리로의 대환대출을 빙자, 기존 채무상환 명목으로 이체를 권유한 경우가 62.3%로 피해가 컸다.
피해자 연령대는 40~50대가 69%로 가장 많았다.
한편 같은 기간 검거는 740건, 638명으로 전년대비 각각 53.5%, 13.3% 증가했고 검거율도 140%로 39%가 증가했다.
유관기관과의 협력으로 피해예방은 33건, 예방액수는 9억1천여만원으로 50% 증가했다.
이와 같이 보이스피싱범 검거와 피해예방이 대폭 증가했음에도 발생 또한 계속 증가하고 있는 것은 최근 금리인상과 가계대출 수요 증가를 악용, 은행 또는 캐피탈을 칭하면서 저금리 대환대출을 빙자 기존 채무상환 등 명목으로 금원이체를 요구하는 유형의 전화사기수법이 크게 증가한데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러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시중은행 등 금융기관은 전화로 대환대출상담을 먼저 해 오는 경우가 없고, 또한 현대캐피탈, 롯데캐피탈은 대환대출 상품 자체가 없으니 저금리 등 대출상담은 반드시 금융기관을 방문 상담해야 한다.
‘금융감독원’ 이라는 전화도 100% 보이스피싱이다. 금융감독원은 일반시민을 상대로 금융상담을 하지 않는다.
특히 ‘전화가로채기 앱’ 등 악성 프로그램을 활용한 신종 보이스피싱 수법이 기승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문자메시지나 카카오톡 등 SNS를 통해 전송되는 출처가 불문명한 링크를 절대 클릭해서는 안 된다.
부산지방경찰청은 “경찰·검찰·금감원 등 국가기관은 절대 돈을 이체하라거나 송금하라고 하지 않으니 이와 같은 전화가 오면 즉시 끊고 112로 신고해 주시길 바란다”며 “각 금융기관과 금감원 부산지부에도 자체적으로 적극적인 대국민 홍보를 해 줄 것”을 당부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