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유형별, 단계별 전달 메시지 체계화해 대응, 정수장 및 관련 공사 등에 대해 녹조, 갈수기 등 시기를 고려해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
장기적 정수장의 단계적인 전면 개조 필요성
이성권 경제부시장 주재로 환경물정책실장, 상수도본사업부장,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안전한 수돗물 공급 전문가 협의회’ 운영
![]() |
▲수년 전부터 낙동강 상수원수를 대체할 지리산댐 건설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주장을 펴온 은산해운항공그룹 양재생 회장이 지난해 9월 초순 낙동강 하류 경남 김해시 삳동면 소재 매리취수장을 찾아 착잡한 표정으로 황토물처럼 오염돼 흐르는 낙동강을 수면을 바라보고 있다. 양 회장 뒤편으로는 부산 상수원수 취수구로 몰려드는 녹조를 희석시키기 위해 장비를 이용해 맑은 물을 뿌리는 장면이 보인다. |
[로컬세계 부산=글·사진 전상후 기자] 부산시는 지난 9일 발생한 수돗물 흙냄새 발생사고와 관련해 사과와 함께 재발 방지를 위한 대책을 14일 발표했다.
부산의 수돗물은 침전지와 모래여과조의 재래식 처리방식과 오존처리와 입상활성탄 처리를 하는 고도정수처리 방식으로 처리한다.
이번 사고는 벨브교체 공사를 하는 과정에서 재래식 처리만 하고 고도정수처리는 하지 않은 상태에서 고농도의 조류가 발생함으로써 문제가 됐다.
시는 지난 9일 오후 2시 20분 화명정수장의 밸브교체 공사를 중지하고, 고도정수처리를 통해 정상적으로 수돗물을 생산하고 있다.
![]() |
▲녹조가 기승을 부렸던 지난해 여름이 막 지난 9월 초순 부산 매리취수장 위쪽 낙동강물이 매우 탁한 모습을 보인다. 양재생 은산해운항공그룹 회장이 팔을 뻗어 매우 혼탁한 낙동강물을 가리키며 '지리산댐' 건설이 꼭 필요하다고 역설한다. |
이번 수질사고로 흙냄새 관련 민원은 남구, 수영구 등 274건이 발생했으며, 10일 오후 2시 이후 모든 수질은 정상상태를 보이고 있다.
시는 이번 사고를 통해 상수도본부의 수질사고에 대한 대응이 미흡하고, 또한 더욱 장기적으로는 화명정수장 등에 대한 근본적인 대응책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이에 시는 상수도의 수질사고에 대해 사고유형별, 단계별로 시민들에게 전달할 메시지를 체계화해 대응하기로 하고, 정수장 및 관련 공사 등에 대해 녹조, 갈수기 등 시기를 고려해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하기로 했다.
또 장기적으로는 근본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정수장의 단계적인 전면 개조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이성권 부산시 경제부시장 주재로 환경물정책실장, 상수도본부장,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안전한 수돗물 공급 전문가 협의회’를 운영하기로 했다.
이성권 부산시 경제부시장은 “수돗물은 시민들의 건강과 직결되므로 한시도 소홀히 할 수 없으며, 또한 우리 세대만이 아닌 미래세대를 위해서도 상수도시설이 지속가능하도록 멀리 내다보고 시설을 투자해 가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번 사고를 계기로 전문가들의 자문을 받아 근본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