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른 정보전달로 적합한 작전 구상…대형사고·소방대원 피해 방지
![]() |
▲부산 소방대원들이 위험물질이 적재된 화공약품물류창고에서 발생한 화재를 진압하고 있다. |
12일 부산소방에 따르면 소방본부는 물론 환경부·경찰청에서 각각 관리하고 있는 위험물질에 대한 정보를 일원화하는 ‘위험물질 통합관리시스템(HUMS)’을 상반기 중 구축할 계획이라고 12일 밝혔다.
현재 소방본부는 4300개소의 위험물 저장·취급 사업장을 관리하고 있으며 환경부는 유해화학물질 저장·취급 사업장 2620개소를, 경찰청은 화약류 저장·취급 사업장 30개소를 맡는 등 3개 기관에서 총 6980개소의 사업장을 각각 관리하고 있다.
부산소방은 HUMS 구축을 위해 지난 8일 T/F팀을 구성하고 약 3개월간 각 기관에서 관리하고 있는 위험물질 현황·대응매뉴얼 DB구축과 프로그램 개발 등에 나섰다.
HUMS는 사고 접수 시 관련정보가 출동분대 단말기로 바로 자동 전파되며 이는 전국 최초로 추진되는 사업이다. 기존에는 위험물질 사고 시 119종합작전상황실에서 접수하면 사고 물질 현황 및 대응매뉴얼을 직접 검색해 출동분대에 전파, 정보습득에 시간이 지연되는 등 사고현장에 적합한 대응작전을 구상하기 어려웠다.
즉 각 기관에서 위험물질을 관리하고 있으나 ‘모든 사고의 초동 대응은 소방에서 담당’하고 있어 위험물질 현황과 대응매뉴얼 부재로 항상 대형사고의 우려가 있었으며 현장대원의 안전이 문제돼 왔다.
실제로 지난해 발생한 중국 텐진항 폭발사고 시 사고 현장에 물과 혼합하면 폭발하는 물질이 보관돼 있다는 것을 알지 못하고 물을 뿌려 소방대원 112명이 사망하고 약 900여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바 있다.
최익환 소방제도담당은 “각 부처에서 관리하고 있는 위험물질을 소방에서 통합관리 함에 따라 보다 효율적으로 현장 대응이 가능해져 정보 부족에 따른 대형사고 및 소방대원의 안전 확보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전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