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법적인 책임 회피하는 한 위안부 문제의 최종 해결은 결코 있을 수 없다”
[로컬세계 이서은 기자] 더불어민주당은 오늘(29일) 박근혜 대통령이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합의 관련 ‘대승적 견지에서 이해를 해주시기 바란다’고 발언한 것에 대해 “유감스럽지만 이해해 줄 수 없다”고 밝혔다.
더불어민주당 김성수 대변인은 이날 오전 현안 서면 브리핑을 통해 “위안부 문제는 정부가 먼저 나서서 ‘최종적, 불가역적 해결’을 선언할 성격이 아니다”며, “위안부 문제는 역사의 문제이며 역사 문제의 해결은 국민적 합의, 시대적 동의가 전제돼야 한다. 따라서 정부가 아무런 국민적 공감대 없이 완전히 해결됐다고 선언한 것은 오만으로 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또한 “위안부 문제에 대해 유엔 등 국제 사회에서 비난과 비판을 자제하기로 한 것은 심각한 오판”이라며, “비난을 자제한다는 합의는 그동안 우리가 근거도 없이 일본을 비방해왔다는 오해를 살 수 있으며, 일본의 법적 책임과 동원의 강제성을 부인하는 망언이 되풀이 될 경우 대처 방안이 마땅치 않다는 점에서 우리 스스로 족쇄를 찬 셈”이라고 꼬집었다.
아울러 “위안부 소녀상 이전에 사실상 동의해 준 것은 굴욕, 야합이라는 비판을 들어 마땅하다”며, “소녀상은 수요 시위의 정신을 기리는 역사의 상징물이자 공공의 재산이어서 이전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는 한국정신대 문제대책 협의회의 지적에 전적으로 공감한다”고 비판했다.
김 대변인은 이어 “이번 합의는 정부가 현실 외교적 측면에만 매몰돼 원칙을 저버리고 일본에 면죄부를, 그것도 최종이라는 도장까지 찍어 내주고 말았다는 비판을 면하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위안부 문제 해결의 제일 원칙은 일본 정부가 법적인 책임을 명시적으로 인정하는 것”이라며, “일본 정부가 법적인 책임을 회피하는 한 위안부 문제의 최종 해결은 결코 있을 수 없으며 설사 피해 할머니들이 다 돌아가신다 해도 풀지 못한 역사적 숙제로 남을 것이라는 점을 한일 양국 정부는 분명히 깨달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