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설상영 중앙직업전문학교장. <사진제공=중앙직업전문학교> |
“잘 살아보세” “산 입에 거미줄 치지 않기”가 삶의 최대 목표였던 시절. 우리의 선배들은 산업현장에서 피와 땀으로 이 땅의 산업화를 이루어 냈으며 오늘의 풍요를 건설했다.
그래서 우리는 그들을 ‘산업역군’이라 부른다.
오늘날에도 제2의 산업화, 새로운 풍요를 꿈꾸며 내일의 산업역군을 꿈꾸는 이들이 있다. 그리고 그들을 교육해 이 땅의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는 곳이 있다.
재단법인 중앙노동경제연구원 중앙직업전문학교.
이곳의 교육 철학과 기술의 중요성에 대해 설상영 중앙직업전문학교 학교장을 만나 직접 들어봤다.
과연 오늘날 우리 경제에 기초기술은 어떤 의미이고 가치인가?
다음은 설상영 중앙직업전문학교 학교장과의 일문일답이다.
![]() |
▲ 교육 중인 설상영 중앙직업전문학교장. <사진제공=중앙직업전문학교> |
☞ 재단법인 중앙노동경제연구원 중앙직업전문학교는 공기가 맑고 자연이 아름다운 용인시 처인구 에버랜드 근처에 약 1만 1550평방미터(3500평)의 넓은 공간에 자리를 잡고 있다.
1994년 고용노동부로부터 직업훈련기관으로 지정받아 21개 교육과정 을 시작으로 실업자과정, 국가기간 전략산업과정, 재직자과정, 재중동포 기술교육 등 다양한 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현재는 특수용접 과정(재중동포교육 포함), 공조냉동 실무자 과정, 조경관리 과정. 지게차 운전과정, 소형지게차 운전과정 등 교육을 하고 있다.
▣ 직업교육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 글로벌(global)시대 대한민국의 경쟁력은 기술이라 할 것이다.
이제 기술도 융합(fusion)을 통해서 다양하고 3차원적인 발전을 가져오고 있다. 한국의 기술교육의 선도적 활동을 해 온 직업전문학교는 현재도 중요한 역 할 을 하고 있다. 다만 누구나 참여하는 국가 지원 사업을 하다 보니 전문성이 떨어지고 열약한 교육 환경에서 세계적인 전문 기술을 만들어 낼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이 된다. 정부에서 직업전문학교에 많은 지원 요구되고 있다.
![]() |
▲ 중앙직업전문학교의 실습 설비 모습. <사진제공=중앙직업전문학교> |
☞ 우리는 흔히 3D 업종이라고 한다. 그러나 우리의 경제를 일으킬 수 있었던 것이 이러한 업종이다. 그리고 조선업은 세계적으로 부가가지가 높은 사업이다. 이제 용접도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
알곤(TIG)용접, CO2용접, 피복 아크용접, 스텐파이프 용접, 프라지마 절단 등 특수용접이 있다. 이러한 기술은 기업에서도 취업률이 높고 급여도 높다. 또한 용접 하나의 과정에서 여러 가지 기술을 배울 수 있어 좋다. 이제는 다기능 시대에 있다.
▣ 중앙직업전문학교의 구체적인 교육프로그램은 어떻게 짜여 있으며 교육생들의 만족도는 어떤가?
☞ 우리 학교에서는 오랜 경험을 겸비한 전문 교수들이 NCS 프로그램을 통한 체계적인 지도를 하고 있으며 맞춤식 교육으로 취업을 목표로 교육을 하고 있다. 먼 거리에서 오시는 교육생을 위해서 기숙사가 완비되어 있으며 쾌적한 공간을 활용하여 운동이나 여가를 즐길 수 있어 만족을 하고 있다고 본다.
![]() |
▲ 지난해 중국 길림시에서 개최된 ‘INKE 중국2본부활성화 대회-중국기업인·농촌지도자 새마을운동 교류협력방 안 포럼’에서 발언 중인 설상영 중앙직업전문학교장. <사진제공=중앙직업전문학교> |
☞ 그동안 축적된 교육 환경을 보다 활발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특성화된 기술교육의 전당으로 만들고 싶다. 전문 기술교육을 통해서 능력이 향상되어 어느 곳이든지 직장을 걱정하지 않는 직업인이 되도록 많은 인력을 양성하는 교육기관으로 세우고 싶다.
▣ 끝으로 직업교육을 통해 미래산업 역군의 꿈을 키워가는 이들에게 한 말씀 부탁드린다.
☞ 이제는 생존을 위한 전문화 시대에 맞추어 직업 환경은 하나의 직장보다 직업의 유연성이 요구되는 다기능 시대가 되고 있다. 그것은 평생직장 보다 평생의 직업이 자신에게 절실히 요구되고 있기 때문이다.
기업에서는 개인의 능력과 경쟁력을 평가한다.
무한 경쟁시대의 변화는 정보 능력을 갖추고 1인 3역을 할 수 있는 다기능의 소유자가 주역이 될 것이다. 전문 기술만이 평생 안정된 직업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감사하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