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화로 인한 친일, 독재, 미화의 역사왜곡 있을 수 없다…좌시하지 않을 것”
![]() |
▲ 황교안 국무총리가 오늘(3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역사교과서 국정화 관련 대국민담화를 발표하고 있다. <사진출처=e-브리핑 화면캡처> |
황 총리는 이날 오전 11시 정부서울청사에서 대국민담화를 통해 “더 이상 왜곡되고 편향된 역사교과서로 우리의 소중한 아이들을 가칠 수는 없다”며 이 같이 밝혔다.
이어 역사교과서 국정화의 당위성을 설명하기 위해 몇 가지 사례를 들면서 기존 교과서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들을 지적했다.
황 총리는 6·25 전쟁과 관련 한 역사교과서에 기술된 ‘남북 간 38선의 잦은 충돌이 전쟁의 직접적인 원인이었다’는 문장을 언급하면서 “6·25 전쟁의 책임마저 북한의 잘못이 아닐 수도 있다는 그릇된 생각을 갖게 할 우려가 있다”고 꼬집었다.
또 대한민국은 ‘정부 수립’으로 북한은 ‘조선민주주의 인민 공화국’ 수립으로 기술한 역사교과서에 대해 “대한민국은 마치 국가가 아니라 정부 단체가 조직된 것처럼 의미를 축소하는 한편, 북한은 건국의 의미를 크게 부여해 오히려 국가 정통성이 있는 것처럼 의미를 왜곡 전달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아울러 ‘천안함 폭침도발 사건’과 관련 “일부에서는 북한의 만행을 미국의 소행으로 왜곡하거나 암초에 부딪쳐 좌초된 우발적 사고인양 허위 주장을 하고 있다”며, “북한의 군사 도발과 그에 따른 우리 국민들의 희생은 최소한도로만 서술함으로써 북한의 침략야욕을 은폐·희석시키고 있다”고 덧붙였다.
황 총리는 그러면서 “정부가 사실 왜곡과 편향성이 있는 교과서를 고칠 것을 요구해도 상당수 집필진은 이를 거부하고 오히려 정부를 상대로 소송을 남발하고 있다”며, “다양성은 사라지고 편향성만 남은 역사교과서, 학교의 자율적인 선택권은 사실상 원천적으로 배제되고 있는 현행 검정발행제도는 실패했다는 것이 정부의 판단”이라고 설명했다.
황 총리는 “일각에서는 역사교과서의 국정화로 친일, 독재, 미화의 역사왜곡이 있지 않을까 우려하기도 한다. 그러나 그러한 일은 있을 수 없다”며, “성숙한 우리 사회가 이를 용납하지 않을 것이고, 정부도 그러한 역사 왜곡 시도들에 대해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단언했다.
이어 “자라나는 세대가 올바른 역사관과 국가관을 확립하고, 통일시대를 준비하면서 미래로 나아갈 수 있도록 국민 여러분께서 지혜와 힘을 모아주시기를 간곡하게 부탁드린다”고 호소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